“사용 필요하지만 아직은” 하루에 평균 2건 정도 사용
다회용기 사업 1달차 한강공원 부정적 시선
위생, 불편, 음식점 제한 등에 아쉬움
지난해 시작한 잠실 야구장도 어려움 존재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모르고 있었어요. 불편하고 위생이 신경쓰여서 사용하지 않을 것 같아요.”
지난 19일 오후 찾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강공원 배달존 2. 서울시의 다회용기 사업을 알리는 ‘배달앱에서 ‘다회용기’ 주문하고 깨끗한 한강공원 만들어요‘라는 현수막이 눈에 띈다. 배달존 2에 설치된 ‘배달 다회용기 전용 반납함’ 문을 열어봤다. 안에는 널부러진 나무 젓가락과 함께 그릇이 담긴 봉투 하나만이 놓여있다. 인근 잔디밭에는 50여명의 사람들이 돗자리를 깔고 시간을 보내고 있지만, 스테인레스 그릇에 음식을 먹는 사람은 찾아볼 수 없다. 한강에서 노점상을 운영하는 최모(40) 씨는 “사람들은 다회용기 반납통인지도 모르고 저기에 컵라면 용기를 버리려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지난달 7일부터 운영에 들어간 한강공원 ‘배달 다회용기 전용 반납함’ 이용률이 저조하다. 배달다회용기 전용 반납함 사업은 일회용 플라스틱이나 비닐 대신 스테인리스 용기에 배달음식을 시켜 먹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여의도한강공원 3곳, 뚝섬한강공원 2곳에 ‘배달 다회용기 전용 반납함’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7일부터 최근까지 다회용기 전용반납함 용기 회수건수는 300여건으로 하루에 평균 10건, 반납함 한 개당 하루에 평균 2건 정도다. 한강공원서 배달음식을 시켜먹는 사람들의 수에 비하면 턱없이 적은 이용률이다.
이날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만난 시민들은 불편함과 위생 상태를 이유로 사용을 꺼리고 있었다. 치킨을 주문해 먹던 김모(28) 씨는 “모르고 있었다”며 “한강까지 와서 귀찮게 다회용기에 먹을 것 같진 않다. 이미 일회용품에 적응됐다”고 말했다. 김 씨 옆에는 종이 박스와 비닐 봉지가 놓여 잇엇다.
세척에 대한 우려 목소리도 있다. 강아지와 함께 나들이를 나온 유모(30) 씨는 “들어는 본 것 같은데 제가 용기를 씻는 것이 아니니까 좀 찝찝하다”고 전했다.

시가 운영하는 배달 다회용기 사업은 다회용기 전문 기업과 계약을 맺고 이뤄진다. 이에 세척 과정도 ‘애벌 세척∼불림∼고온 세척∼헹굼∼건조∼살균소독∼전수검사’ 총 7단계로 철저하게 진행된다. 다만 아직까진 시민들의 불안감을 잠재우지 못한 모습이었다.
적은 배달음식 선택 폭에 아쉬움도 나왔다. 변희선(29) 씨는 “아까 배달구역에서 봤는데 원하는 닭발집이 없어 못 시켰다”고 토로했다. 실제 기자가 배달의민족 앱에 들어가 확인해 본 결과 배달 주문이 가능한 음식점은 45곳이다.
전문가들은 일회용품 규제 강화를 통한 ‘지속 가능한 다회용기 사용 모델’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은 “서울시가 진행하는 다회용기 사업 시도는 물론 좋다”면서도 “시에서 위탁업체를 선정해 지원해 줄 수 있는 기간은 한정적이다. 결국 이 사업이 이어지기 위해서는 일회용품에 대한 규제가 만들어져야 하고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모델로 이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날 한강공원에서 만난 사람들도 규제 적용시 다회용기를 사용할 것 같다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신혜수(37) 씨는 “의무화가 됐을 때는 다회용기를 사용할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지난 2023년 장례식장 다회용기 도입을 시작으로 잠실야구장에 다회용기를 도입하는 등 사업 대상을 넓혀가고 있다. 일부는 성과가 나고 있지만, 여전히 미흡하다.
잠실 야구장은 지난한해 동안 60만건의 이용건수를 기록하고, 포장용기를 통해 나오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17톤 줄였지만 목표치 ‘80만건 사용, 24톤 감축’에는 못미쳤다. 다만 잠실야구장 관중 증가율 23%(2023년 217만 명→지난해 269만 명)에 비해 플라스틱 폐기물 증가율은 9% 수준으로 효과는 분명했다.
장례식장은 효과를 보고 있다. 지난해 7월부터 다회용기를 도입한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은 5개월 동안 일반폐기물 20톤(t)을 줄였다 2023년 1월 서울의료원 장례식장에서 배출된 쓰레기는 100리터짜리 봉투 기준으로 793개나 됐지만, 다회용기를 도입한 7월에는 136개로 크게 줄었다. 현재 서울의료원, 시립 동부병원, 시립 보라매병원, 삼성 서울병원 등 4곳에서 시행 중인데, 올 하반기 2곳가량을 추가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세척 등 시민들이 우려하는 부분은 문제없이 깨끗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배달구역 주변 환경 개선을 위해 쓰레기통을 추가 설치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며 “일회용기 사용까지 강제로 규제하기까지는 어렵고 시민의 인식을 개선해 가는 과정이 중요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coo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