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날 2025 기념 비즈포럼

19개국 대사 등 800여명 참석 ‘성황’

세계에서 가장 젊은 대륙·최대 단일 시장

협력 수혜국 아닌 글로벌 파트너로 부상

“한-아프리카 관계,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

‘아프리카의 날’ 62주년을 앞두고 헤럴드미디어그룹, 주한아프리카대사관 연합(AGA), 한·아프리카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한 ‘아프리카의 날 2025 기념 비즈포럼’이 21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가운데 샤픽 하샤디 주한아프리카대사단장이 ‘아프리카의 날’ 축하행사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박해묵 기자
‘아프리카의 날’ 62주년을 앞두고 헤럴드미디어그룹, 주한아프리카대사관 연합(AGA), 한·아프리카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한 ‘아프리카의 날 2025 기념 비즈포럼’이 21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가운데 샤픽 하샤디 주한아프리카대사단장이 ‘아프리카의 날’ 축하행사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박해묵 기자
최진영 헤럴드미디어그룹 대표이사가 21일 오후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아프리카의 날 2025 기념 비즈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최진영 헤럴드미디어그룹 대표이사가 21일 오후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아프리카의 날 2025 기념 비즈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21일 오후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아프리카의 날 2025 기념 비즈포럼’ 축하행사에서 한-아프리카 전통의상 패션쇼를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21일 오후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아프리카의 날 2025 기념 비즈포럼’ 축하행사에서 한-아프리카 전통의상 패션쇼를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아프리카의 날’ 62주년을 앞두고 헤럴드미디어그룹, 주한아프리카대사관 연합(AGA), 한·아프리카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한 ‘아프리카의 날 2025 기념 비즈포럼’이 21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열렸다. 참석자들이 공연을 관람하며 사진을 찍고 있다. 박해묵 기자
‘아프리카의 날’ 62주년을 앞두고 헤럴드미디어그룹, 주한아프리카대사관 연합(AGA), 한·아프리카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한 ‘아프리카의 날 2025 기념 비즈포럼’이 21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열렸다. 참석자들이 공연을 관람하며 사진을 찍고 있다. 박해묵 기자
아프리카의 날 2025 기념 비즈포럼
아프리카의 날 2025 기념 비즈포럼

[헤럴드경제=최은지·김희량 기자] “아프리카 대륙의 다양성은 창의성의 원천이자 최대자산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제 한국과 아프리카 파트너십의 진정한 잠재력을 실현할 때다.”(샤픽 하샤디 주한 아프리카 대사단장)

‘아프리카의 날’ 62주년을 앞두고 헤럴드미디어그룹, 주한아프리카대사관 연합(AGA), 한·아프리카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한 ‘아프리카의 날 2025 기념 비즈포럼’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아프리카 대륙이 품고 있는 잠재력과 가능성을 모색하는, 깊이 있는 토론이 이어졌다. 아프리카 문화를 널리 알리고 유대감을 키우는 행사엔 마치 축제를 방불케 하는 큰 호응이 쏟아졌다.

지난 21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이 행사엔 총 19개국 대사를 포함한 800여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아프리카의 날 2025 기념 비즈포럼’은 아프리카 대륙 국가 20여개국 대사들로 구성된 AGA가 국내 언론사와 아프리카의 날을 기념하는 유일한 행사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됐다. 아프리카의 날은 아프리카연합(AU)의 전신인 아프리카단결기구(OAU)의 설립일(1963년 5월25일)을 기념하고 있다.

올해 행사는 ‘연결을 넘어, 새로운 기회로(Building Bridges, Creating Opportunities)’란 주제로 아프리카 대륙의 풍부한 가능성과 한국의 자본 및 첨단 기술 역량의 접점을 모색하는 자리로 진행됐다.

최진영 헤럴드미디어그룹 대표이사 등 언론계 인사들과 샤픽 하샤디 주한 아프리카 대사단장(주한 모로코 대사)을 비롯한 19개국 주한 아프리카 대사,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 김영채 한·아프리카재단 이사장, 정기홍 외교부 공공외교대사 등 주요 정관계 및 기업인들이 참석했다.

최진영 대표는 이날 축사를 통해 “지난해에 이어 불과 1년 만에, 우리는 ‘우분투(Ubuntu·당신이 있기에 나도 있다는 뜻)’ 정신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 다시 이 자리에 모였다”며 “한국과 아프리카의 관계는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프리카대사 측 대표자로 나선 하샤디 대사는 “아프리카는 더 이상 협력의 수혜자가 아니라 글로벌 발전의 중요한 행위자”라며 “우리는 새로운 시대의 잠재력을 반영하는 글로벌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선 김관영 전북도지사가 참석, 특별연설에 나서기도 했다. 김 지사는 “우리 전북은 아프리카를 미래의 동반자로 생각하고 있다”며 “국가 간 교류 못지않게 지방 정부 간 교류도 활발하게 이뤄져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전북은 2023년 3월 아프리카 통상협력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양측간 교류 협력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김 지사는 오는 9월에도 아프리카를 방문할 계획이다.

김 지사는 “오늘 이 행사로 앞으로 한국과 아프리카의 교류협력에 큰 발전을 가져오기를 기대한다”며 “이를 위해 우리 전북도 같이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1부 행사는 아프리카 주요국 정부 관계자와 재계 인사 등이 모여 한국과 아프리카의 경제협력 시너지 방안을 논의하는 토론으로 진행됐다. 카이스 다라지 주한 튀니지 대사의 좌장으로 진행된 토론에서 에미 제로노 킵소이 주한 케냐 대사는 “아프리카가 경쟁보다는 서로 보완하는 ‘하나의 대륙’으로 기능한다는 걸 한국이 이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정부 간 네트워킹과 B2B(기업과 기업) 네트워킹이 더 활발해져 많은 기회를 확대하는 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엄성용 한국수출입은행 부행장은 아프리카 시장의 잠재력과 투자 현황 등을 공유했다. 그는 “한국 정부는 그린, 디지털 전환, 공급망 관련 분야에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이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에너지 분야에서 아프리카 국가와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다는 제안도 이어졌다. 티모시 디킨스 주한 남아프리카공화국 상공회의소 회장은 “에너지, 태양광, 원자력, 수자력 등 한국의 전문 분야에서 아프리카와의 협력을 확장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2부 행사는 한국과 아프리카의 합동 문화 행사로 꾸며졌다. 이날 행사장에 참석한 ‘아프리카 인사이트’ 합창단은 ‘챔피언(Champions)’의 2절 부분에서 서로의 언어(한국어와 스와힐리어)로 바꿔 부르며 화합의 장을 연출했다.

각국 전통 의상이 수놓은 패션쇼는 이날 행사의 백미였다. 최 대표와 하샤디 대사를 비롯해 14개국 대사관 관계자들이 자국의 전통 의상을 입고 런웨이에 나섰다. 아프리카를 상징하는 형형색색 의상과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의상 한복을 입은 참석자들이 한무대에 올랐다. 이에 참석자들은 뜨거운 환호성을 쏟아내며 일제히 카메라를 꺼내 촬영하는 진풍경도 연출됐다.

아프리카는 평균 중위연령 18.8세로, 세계에서 가장 젊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2021년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를 출범해 국내총생산(GDP) 3조달러 규모의 세계 최대 단일시장으로 도약 중이다. 특히 올해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아프리카 대륙 최초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개최된다.


silverpaper@heraldcorp.com
hop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