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주민환원형 녹색경제’ 비전
‘사계절체류형 관광생태계’ 정책 약속
8일만에 다시 경남행…“결집 막아야”
선대위도 TK·PK 험지 골목 유세 집중
박찬대 대구-김부겸 경북-김경수 경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1일 자신의 지역구인 인천광역시 계양역 앞 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5/22/rcv.YNA.20250521.PYH2025052122080001300_P1.jpg)
[헤럴드경제=양근혁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제주에서 22일 선거운동 일정을 시작했다. 이 후보의 제주 방문은 대선 출마 선언 이후 처음으로, 집중 유세와 생활밀착형 정책 제시를 통해 도민 표심 잡기에 나섰다. 오후에는 첫 주차 유세에서 우선적으로 순회했던 경남을 다시 찾는다. 22일간의 공식선거운동 기간이 11일째로 반환점을 맞은 가운데 전통적 보수 지지층이 많은 험지 관리에 더욱 힘을 쏟는 모습이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제주 동문로타리에서 첫 유세에 나섰다. 이 후보는 제주에서 ‘주민환원형 녹색경제’를 실현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이 후보는 친환경 에너지 산업 육성에 매진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햇빛연금과 바람연금 등을 통해 얻은 이익을 주민에게 직접 돌려주는 방안이다. 또한 문화·자연·체험이 어우러진 ‘사계절 체류형 관광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도 약속했다. 선거운동 시작 이후 제주를 찾는 일정은 처음인만큼 생활밀착형 정책 제시에 공을 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오후에는 경남 양산 워터파크 공원을 찾아 선거운동을 이어간다. 양산 유세에서는 UN국제물류센터 동북아 본부 유치, 첨단 조선산업 활성화 추진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조승래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공보단장 겸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중앙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해양산업의 대전환, 조선업 르네상스의 태동, 글로벌 물류 거점, 글로벌 관광 중심국으로의 도약. 이것이 이 후보가 꿈꾸는 글로벌 해양강국의 모습이며, 진짜 대한민국의 비전”이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6주기를 맞는 23일에는 추모를 위해 경남 김해 봉하마을로 향한다. 문재인 전 대통령과의 만남도 자연스레 이뤄질 전망이다.
이 후보의 이날 경남 재방문은 8일만이다. 앞서 이 후보는 공식선거운동 개시 사흘째였던 지난 14일 PK(부산·경남) 지역을 한 차례 순회했다. 대선 본투표일을 12일 앞두고 규정된 공식선거운동 기간이 절반 남은 시점인 만큼 보수 유권자가 많은 지역을 찾아 지지를 호소하는 전략이다. 한 민주당 선대위 관계자는 “며칠 남지 않은 선거운동 전략의 핵심은 어느 장소에서 어떤 사람들을 만나느냐다”라며 “중도와 보수 유권자가 많은 곳들을 위주로 유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 선대위는 선거운동 막판 보수층 결집이 이뤄질 것으로 관측하면서 낙관론을 경계하고 있다. 특히 최근 발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 후보의 PK 및 TK(대구·경북) 등에서의 지지율 상승 추이도 최종 득표율과는 차이가 있을 것이란 분석이 당내에서 나온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12·3 비상계엄 내란에 대해서는 창피하게 생각하고 말을 아끼지만, 그래도 투표소에 들어가서는 국민의힘에 표를 줘야겠다고 생각하는 샤이 보수들이 많다”며 “보수 지지층의 결집을 막는 게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총괄선대위원장들 역시 TK와 PK로 각각 흩어져 골목 유세에 집중한다. 이날 박찬대 상임총괄선대위원장은 대구와 경북 영천·경산·김천, 김부겸 총괄선대위원장은 경북·상주·문경·의성·안동·예천을 각각 순회한다. 김경수 총괄선대위원장은 경남 밀양·창원을 찾은 뒤 이 후보와 함께 양산에서 집중 유세에 나선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국민의 기본적인 삶은 국가 공동체가 책임지는 사회, 기본사회로 나아가겠다”며 자신의 핵심 정책인 ‘기본사회’ 추진 관련 구상을 내놨다.
이 후보는 “기본사회는 단편적인 복지정책이나 소득 분배에 머무르지 않는다”며 “우리 헌법에 명시된 행복추구권과 인권을 바탕으로, 모든 국민의 기본적 삶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사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국가전담기구 설치 및 민관협력체계 구축, 주 4.5일제 단계적 도입 등 기본사회 구현을 위한 8가지 세부 공약을 제시했다.
y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