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취업자 중 20대 비중 12.2% 불과 ‘역대 최저’
60세 이상은 22.7%…20대의 2배에 가까운 수준
한은 “경력 채용 증가가 청년 고용에 부정적 영향”
노인일자리 확대, 정년연장 등도 복합적 영향 미쳐
![경력직 선호 등 영향으로 20대가 전체 취업자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급격하게 낮아지고 있는 반면, 60세 이상 비중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은 지난 14일 서울 시내 한 대학교에 설치된 취업정보 게시판 [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4/15/rcv.YNA.20250414.PYH2025041406710001300_P1.jpg)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20대가 전체 취업자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낮아져 역대 최저 수준에 이른 것으로 확인됐다. 비율로 따지면 취업자 10명 중 1명 정도가 20대다.
빈자리를 채운건 고령층. 전체 취업자 중 60세 이상 비율은 20대의 두 배에 육박했다. 경력직 선호와 정년 연장, 노인 일자리 사업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됐다.
15일 국가통계포털(KOSIS) 연령별 취업자 통계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올해 1분기 20대가 전체 취업자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2%로 나타났다. 전체 2821만5000명 취업자 중 344만6000명만이 20대였다.
20대 취업자 비중은 시간이 갈수록 낮아지는 추세다. 2003년 1분기(20.2%)에 20%를 넘었던 비율은 계속 낮아져 2010년대엔 13%대에 진입했고, 지난해 2분기 처음으로 12%대에 들어섰다. 이후 한 분기도 거르지 않고 계속 떨어졌다.
전반적으로 인구가 늘고 취업자 수도 증가했지만, 유독 20대 취업자 수는 줄면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급격하게 축소됐다. 경력직 선호 현상이 고용시장에 뿌리깊게 자리 잡으면서 20대 초반은 물론 후반까지도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한국은행은 지난 2월 ‘경력직 채용 증가와 청년고용’ 보고서에서 “경력직 채용 증가로 노동시장에 갓 진입한 청년들의 고용 상황에는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대와 30대 간 상용직 고용률 격차는 2010년 8.8%포인트에서 2023년 19.1%포인트까지 2배 이상 증가했다. 한은은 이러한 현상이 경력직 선호에 따른 문제라고 봤다.
한은이 가상으로 세운 모형 안에서 경력직 채용이 늘어나는 경우 비경력자 비중이 큰 20대의 상용직 고용률은 10%포인트나 떨어졌다. 30대 하락폭은 3%포인트였다. 경력직 채용 선호로 인한 20대와 30대 사이 상용직 고용률 격차 영향이 7%포인트 나는 것이다. 20대 상용직 고용률과 30대의 상용직 고용률이 차이나는 원인 중 40% 정도가 경력직 선호 때문에 벌어졌다는 설명이다.
반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과거 60세 이상은 정년을 채우고 쉬는 노년층으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20대보다도 훨씬 많은 이들이 일하고 있다.
1분기 기준으로 60세 이상이 전체 취업자 중 차지하는 비중은 22.7%에 달했다. 전체 연령대 중에서 50대(23.5%)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30대(19.4%)나 40대(21.6%)보다도 많은 이들이 일하고 있고, 10%대 초반인 10대 비중과 비교하면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60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 비중은 2000년대만 해도 10% 안팎 수준에서 머물렀으나 2010년대부터 급격하게 높아졌다. 2017년 14.1%에 불과했던 비중은 2020년 1분기 17.5%까지 뛰었고, 2023년 1분기엔 20%대에 진입해 최근엔 22~23%대에서 움직이고 있다.
청년은 쉬고 오히려 고령층이 일하는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는 것이다. 노인 일자리 확대와 함께 정년 연장까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정년 연장은 2016년부터 2024년까지 23~27세 임금근로자 고용을 약 11만명(6.9%), 상용근로자 고용을 약 4만명(3.3%) 감소하게 만들었다.
이에 한은은 지난 8일 ‘초고령사회와 고령층 계속근로 방안’보고서에서 낮은 만족도의 정부 노인 일자리 사업 등을 고려하면 ‘고령층이 더 오래 생산적으로 일할 수 있는 노동시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연공형 임금체계와 고용 경직성을 유지한 채 정년만 연장하면 10년 전처럼 청년고용 위축 등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이 반복될 우려가 크다”며 고령층 계속근로를 위한 정책 방향은 법정 정년 연장보다 퇴직 후 재고용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th5@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