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전 10시 의총협 ‘의대생 복귀’ 긴급회의

21일까지 휴학계 반려

“휴학계 승인 않기로…유급·제적 등 원칙대로”

19일 오전 전국 40개 의과대학 총장들이 긴급회의를 열고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계 관련 지침을 논의했다. [연합]
19일 오전 전국 40개 의과대학 총장들이 긴급회의를 열고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계 관련 지침을 논의했다. [연합]

[헤럴드경제=안효정 기자] 전국 의대 총장들이 긴급회의를 통해 의대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승인하지 않고 오는 21일까지 반려키로 결정했다.

19일 전국 40개 의대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이날 오전 10시에 영상 간담회를 열고 2025학년도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의대 총장들은 이날 회의를 통해 의대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21일까지 반려하고, 유급 및 제적 등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학칙대로 처리하기로 합의했다.

의총협 공동회장인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의총협 협의 사항은 휴학계를 즉시 반려하며, 모든 것은 학칙을 원칙대로 적용하기로 한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학생들의 휴학계를 반려한 전북대 의대와 조선대 의대에 이어 다른 의대 총장들도 뜻을 같이한 것이다.

총장들은 “사랑하는 의대생들의 고통과 어려움에 심심한 위로와 유감을 표한다”면서도 “현재의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최우선은 의대 교육 정상화임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고 말했다.

의총협의 이러한 결정은 교육부의 강경 대응 방침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전날 교육부는 각 의대 총장들에게 공문을 보내 대규모 휴학을 승인하지 않도록 조치해달라고 당부했다.

교육부는 “대규모 휴학 신청은 대학 전체의 정상적인 학사 운영을 방해하고, 대학의 교육여건을 악화시켜 대학 내 다른 단과대학·학생들에게 큰 피해를 주고 있다”며 “의대는 의대생의 대규모 집단 휴학과 이후 복학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책임이 있으므로 대학의 교육 여건 등을 고려해 휴학 승인 여부 등을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의총협은 이날 회의에서 지난 7일 교육부가 발표한 지원 방안에 따라 의대가 24·25학번이 분리 교육을 실시할 경우, 이에 따른 의사 국가시험과 전문의 자격시험 등을 추가로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a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