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기간 일평균 1만6815개 병의원·9070개 약국 문 열어

412개 응급의료기관 정상 운영…“비중증은 동네 병의원부터”

[123RF]
[123RF]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설날 당일에 전국 2619개 병의원이 진료를 하는 등 이번 설 연휴 기간 하루 평균 1만6815곳의 병의원이 문을 연다.

보건복지부는 25∼30일 설 연휴와 징검다리로 이어지는 주말, 휴일까지 8일 동안 문을 여는 병의원은 하루 평균 1만6815곳, 약국은 하루 평균 9070곳으로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설 당일인 29일에는 응급의료기관 412곳, 병원 340곳, 의원 1481곳, 보건소를 비롯한 공공보건기관 276곳 등 총 2619곳이 진료하고 2696곳의 약국이 문을 연다.

명절 당일만 보면 지난해 추석 당일 1785곳보다 많고, 의료 공백 사태가 벌어지기 전인 지난해 설 당일 1622곳보다도 1000곳가량 많다.

설 전날과 이튿날도 각각 4000여 곳 병의원이 문을 열며 토요일인 25일과 2월 1일에는 각각 3만7715곳과 5만5943곳, 임시 공휴일인 27일 월요일엔 2만447곳의 병의원이 진료를 한다.

전국 412곳 응급의료기관은 연휴 기간 내내 정상 운영된다.

설 연휴 문을 여는 병의원과 약국을 찾으려면 응급의료포털(e-gen)을 이용하거나 복지부 콜센터, 시도 콜센터를 이용하면 된다.

네이버 지도, 카카오 맵에서도 ‘명절진료’, ‘응급진료’ 탭에서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한다.

응급의료포털에서는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에 대비해 지정된 전국 135곳의 발열클리닉도 확인할 수 있다.

복지부는 연휴 기간 몸이 아프면 먼저 문 여는 동네 병의원이나 지역응급의료기관, 응급의료시설 등 작은 응급실을 방문할 것을 권고했다.

호흡 곤란이나 갑작스러운 팔다리 저림, 혀 마비 등 중증질환에 흔히 동반되는 심각한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즉시 119에 연락할 것을 당부했다.

증상에 대해 혼자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119에 신고해 의학적 상담이 가능하다.

정통령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연휴 기간 응급실 내원 환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비중증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먼저 운영 중인 동네 병의원이나 작은 응급실을 확인해 이용해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th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