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올해 1분기 한국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 수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으나, 관광수지 적자가 33억 달러에 달하며 관광객 수 증가가 관광수입 증대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적 문제를 드러냈다.
23일 야놀자리서치의 2025년 1분기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관광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외래 관광객은 총 387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했으며, 2019년 동기 대비 0.7% 증가해 팬데믹 이전 수준을 초과하며 양적 회복을 달성했다.
관광수입은 37.8억 달러에 머물며 2019년(49.6억 달러) 대비 23.8% 감소했다.
특히 1인당 평균 소비액은 976달러로, 2019년(1290달러) 대비 24.4% 줄어들며 단순한 방문자 수 증가는 수익성 회복으로 연결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방한 관광객 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관광수입 회복이 더딘 데에는, 체류 시간이 짧고 숙박, 식음료, 쇼핑 등의 소비가 제한적인 크루즈 관광의 성장이 전체마진율을 낮춘 것으로 보인다.
2025년 1분기 외래 관광객 중 7.4%가 크루즈를 통해 입국했으며, 이는 2019년(0.7%) 대비 큰 증가세다.
외국인 대상 면세점 매출은 2019년 40.9억 달러에서 2025년 15.9억 달러로 급감했으며, 이는 중국 관광객의 소비 위축과 소비 패턴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아웃바운드 관광의 경우, 2025년 1분기 한국인 해외여행자 수는 780만 명으로, 2019년(787만 명)의 99.1% 수준에 도달했다. 일본은 250.6만 명이 방문하며 2019년 대비 20.4% 증가해 가장 인기 있는 목적지로 자리 잡았다.
베트남(126만 명, +13.8%)도 상승세를 유지했으나, 태국(-7.3%), 미국(-4.6%), 필리핀(-24.1%), 홍콩(-24.9%), 마카오(-34.3%)는 팬데믹 이전 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해외여행 지출은 70.8억 달러로 2019년(71.9억 달러)에 근접했으며, 1인당 지출액도 908달러로 2019년(914달러) 수준에 육박했다.
![외래객수와 관광수입 추이[야놀자리서치]](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5/23/news-p.v1.20250523.dd631ecfb3bd4ef4a4d8a2b0875fb97f_P1.png)
이로 인해 2025년 1분기 관광수지는 -33.0억 달러를 기록하며, 2019년(-22.3억 달러) 대비 적자폭이 50% 이상 확대되었다. 이는 인바운드 관광 회복에도 불구하고 아웃바운드 소비 증가로 관광산업 수익 구조가 약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야놀자리서치는 양적 회복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관광산업을 담보할 수 없다면서 체류형, 소비력 확대형 상품의 개발, 지역공항 항공인프라 다변화, 고부가가치 관광 상품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bc@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