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는 15일 노무현재단 유튜브에 출연해 대담을 나눴다. [유튜브 채널 사람사는세상노무현재단 화면 갈무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는 15일 노무현재단 유튜브에 출연해 대담을 나눴다. [유튜브 채널 사람사는세상노무현재단 화면 갈무리]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는 15일 12·3 비상계엄 관련자에 대해 “사회의 근본 질서를 뒤흔들어 국가를 위기에 빠트리는 일이 다시는 벌어지지 않도록, 완벽하게 대응책을 강구하고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예비후보는 이날 노무현재단 유튜브를 통해 공개된 유시민 작가·도올 김용옥 선생과의 대담에서 “군사 쿠데타는 다시는 벌어져서는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예비후보는 “전두환 내련 세력의 총칼 탓에 장애인이 되거나 정신적으로 문제가 생긴 사람이 생존해 있는데도 다시 군사 쿠데타가 시도된 것”이라며 “여기에 충분히 책임을 묻지 못하면 어느 나라처럼 6개월마다 쿠데타가 생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일단 덮어놓는 게 통합은 아니다”라며 “분명히 진상을 가릴 것은 가리고 책임질 것은 책임지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예비후보는 다만 “다른 이유로 쓸데없이 뒤져서 괴롭히면 안 된다”며 ‘정치 보복’을 하지 않겠다고도 했다. 그는 “저는 인생사에서 누가 저를 괴롭혔다고 보복한 일이 한 번도 없다”면서 “제가 성남시장 할 때도 경기도지사 할 때도 누구를 해코지 해서 내쫓은 일이 한 번도 없다”고 했다.

이 예비후보는 ‘일각에서는 (보수 진영에) 확 (보복)해야 한다는 사람도 있다’는 유시민 작가 발언에 “실용적인 입장에서 보면 사실은 그 뒤를 쫓아다니는 그 에너지로 다른 것을 해야 한다”면서 “사람을 괴롭히는 것이 즐거운 사람도 있는데 저는 거기에 에너지를 쓰는 것이 너무 아깝다”고 했다.

그는 수사와 기소 권한을 모두 갖고 있는 검찰에 대해 “수사와 기소는 분리해야 한다”며 “수사 담당 기관과 공소 유지 담당 기관을 분리해 수사 기관끼리도 견제하도록 해야 한다”고 개혁안을 말했다.

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를 대폭 강화하고 국가수사본부도 그 독립성과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도 했다.

한일 관계에 대해서는 “과거사 문제, 독도 문제에 대한 일본의 행태에는 매우 비판적이지만 거시적으로 협력해야 한다”며 “한미 동맹을 존중하고 한미일 협력 관계를 제대로 구축하면서 러시아·중국과의 관계도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paq@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