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교도관·시청 공무원·정당 관계자까지 사칭
손님 요구에 취약한 자영업자 약점 노린 ‘사기’
“피해예방 위해 ‘주문’부터 의심하고 확인해야”
![최근 군인이나 공무원 등으로 사칭한 ‘노쇼(No-show) 사기’ 범죄가 전국에 기승을 부리면서 경찰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경찰은 “사회 이슈에 맞춰 계속해서 새로운 사기 시나리오가 등장하는 만큼 반드시 의심하고 확인하는 습관을 지녀야 한다”고 당부했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5/20/news-p.v1.20250319.27865cbffaa04e788df54ba80eefd9eb_P1.jpg)
[헤럴드경제=이용경 기자] 최근 군인이나 공무원 등으로 사칭한 ‘노쇼(No-show) 사기’ 범죄가 전국에 기승을 부리면서 경찰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경찰은 “사회 이슈에 맞춰 계속해서 새로운 사기 시나리오가 등장하는 만큼 반드시 의심하고 확인하는 습관을 지녀야 한다”고 당부했다.
20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따르면 작년 12월 2일부터 강원경찰청 형사기동대 피싱범죄수사계가 전국에서 발생한 노쇼 사기 범죄를 병합해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 관계자는 “노쇼 사기가 피싱사기나 투자 리딩방과 같은 ‘사이버 기반’ 사기 형태라는 점을 고려해 피싱사기 전문 수사 부서인 강원청 피싱범죄수사계를 집중수사관서로 지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노쇼 사기 사건은 동남아시아에 있는 콜센터에서 주로 이뤄진 것으로 경찰은 파악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빈번히 발생한 정당 사칭 노쇼 사건도 이전의 노쇼 사기와 통신 형태 등이 유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노쇼 사기 일당은 피해업체 인근 군부대 소속 군인이나 교도소 교정 공무원이라고 사칭하며 사기 범죄를 벌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유명 연예인 소속사나 지자체 공무원 등으로 사기범들의 역할과 시나리오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대통령 선거가 임박하면서 정당의 선거캠프나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사칭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일례로, 인천 연수경찰서 등에 따르면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측은 지난 19일 의원실 비서관으로 사칭한 A씨를 경찰에 고발했다.
A씨는 최근 박 원내대표의 비서관을 사칭하며 인천 지역 식당 4곳에 연락해 식사를 주문해 놓고 나타나지 않은 혐의를 받는다. 또한 음식점에 가짜 명함을 보내고 ‘의원님이 꼭 원하는 와인이 있는데 주류 판매 취급점에서만 거래하고 있다’며 병당 700만원인 와인 2병을 구매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쇼 사기’ 1·2단계 시나리오 구조도 [경찰청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5/20/news-p.v1.20250520.d75ff8d358654772baeb4a10c7388392_P1.png)
이는 노쇼 사기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2단계 속임 구조’다. 경찰 분석에 따르면, ‘1단계’에서는 피해자가 운영하는 업체 물품에 대한 주문이 이뤄진다. 이후 ‘2단계’에서는 피해 업체 물품과 함께 결제하겠다며 피해 업체가 취급하지 않는 다른 업체의 물품을 대신 구매해달라고 요청하는 식이다.
예컨대 피해자가 식당을 운영한다면, 노쇼 사기범은 ‘회식 때 고급 와인이 필요하다’는 명목으로 전문 와인 판매업체 연락처를 건네며 대신 주문해 달라고 요청한다. 이후 피해자가 아무런 사정을 모른 채 와인 업체를 가장한 노쇼 사기 일당에 연락해 와인 구매 대금을 송금하면 그때서야 연락을 끊고 잠적하는 것이다. 이 사례는 노쇼 사기범이 1단계에서 ‘정당 관계자’를, 2단계에서 ‘와인 판매자’를 사칭한 경우다.
노쇼 사기범들은 1·2단계에서 각 역할과 범행에 이용할 물품만 바꿔도 계속해서 범행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경찰은 “대량 주문이 들어오면 반드시 실제 사무실에 직접 확인해야 한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경찰 관계자는 “휴대전화로 대량 주문이 들어오면 연락이 온 전화번호가 아닌 해당 공공기관·사무실의 공식 전화번호에 직접 확인해 물어봐야 한다”며 “특히 1차 주문 때부터 확인해야 음식 등을 준비한 데 따른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노쇼 사기가 많은 만큼 해당 기관에 확인하는 것은 실례가 되지 않는다”며 “대량 주문이 들어올 경우 그에 상응한 금액을 미리 결제하도록 하는 것도 사기를 막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취급하지 않는 다른 물품을 타 업체에서 대리 구매해달라는 2차 주문은 노쇼 사기의 전형적인 형태라 단호하게 거절하는 것이 좋다”며 “모든 게 가짜일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경찰은 당부했다.
yk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