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형’으로 확장된 국립 전시관…세대별 세뇌 노골화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뒤에 감춘 역사 왜곡

체험형 콘텐츠를 강화해 최근 재개관한 일본 국립 영토주권전시관. [서경덕 교수 SNS 캡처]
체험형 콘텐츠를 강화해 최근 재개관한 일본 국립 영토주권전시관. [서경덕 교수 SNS 캡처]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한국이 불법 점거하고 있다.”

일본 도쿄 한복판에 자리한 국립 영토주권 전시관이 최근 다시 확장 개관하며 독도에 대한 명백한 역사 왜곡을 더욱 노골화하고 있다. 올해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조선통신사선 뱃길이 261년 만에 재현되고 이를 기리는 전시가 잇따라 열리는 가운데, 이러한 일본 정부의 움직임은 화해의 의미를 무색하게 만들고 있다.

지난 4월 재개관한 영토주권 전시관의 핵심 콘셉트는 젊은 세대를 겨냥한 체험형이다. 초중고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몰입형 시어터와 애니메이션 등 콘텐츠가 대거 추가됐다. 독도에 관한 일본의 일방적인 주장을 대내외에 적극적으로 알리려는 의도가 뚜렷하다. 이 전시관은 일본 정부가 독도를 비롯해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쿠릴 열도 남단 4개 섬 등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기 위해 2018년 처음 문을 열었고, 2020년 한 차례 확장 이전을 거쳤다.

일본 국립 영토주권전시관이 외국인들에게 나눠주는 영문 안내서. [서경덕 교수 SNS 캡처]
일본 국립 영토주권전시관이 외국인들에게 나눠주는 영문 안내서. [서경덕 교수 SNS 캡처]

최근 해당 전시관을 방문한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방문 당일에도 어린 학생들이 꽤 있었다”며 “일본 정부가 이 전시관을 통해 거짓 역사를 자국민에게 버젓이 세뇌 교육시키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해당 전시관 관계자는 재개관 이후 하루 평균 100명가량이 방문하고 있고, 외국인 관람객도 점차 늘었다고 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전시관에서는 외국인 방문객에게 ‘일본의 영토와 영해(Japan’s Lands and Waters)’라는 제목의 영문 안내서를 배포하고 있다. 또 다른 팜플렛에는 “법과 대화를 통한 해결을 지향한다”는 문구와 함께, 한국이 국제법상 아무런 근거 없이 다케시마(일본 쪽이 주장하는 독도의 일본 지명)를 불법 점거를 하고 있다는 일본 측의 억지 주장이 적혀 있다.

1905년 이전에 한국이 독도를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명확한 근거는 제시되지 않았다는 일본 정부 측의 편파적인 입장도 전시 자료에 버젓이 게재돼 있다.

일본 국립 영토주권전시관에 설치된 ‘강치’ 전시물. [서경덕 교수 SNS 캡처]
일본 국립 영토주권전시관에 설치된 ‘강치’ 전시물. [서경덕 교수 SNS 캡처]

또 다른 심각한 문제는 전시관에 ‘강치’를 일본 바다사자로 소개하며 이를 적극 활용한 전시물, 캐릭터, 애니메이션 등이 도배되다시피 돼 있다는 점이다. 과거 일본이 독도에서 어업 활동을 했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강치는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무차별한 사냥으로 인해 멸종된 독도의 바다사자다.

일본 정부는 국제 무대를 비롯해 자국민을 겨냥한 체계적인 세대별 선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미 자국 교과서에 독도 영유권 주장을 반영한 데 이어, 전시장에서 어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행사와 워크숍도 개최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서 교수는 전시관의 내용에 대해 “정말이지 기가 막힐 따름”이라며 “한국도 독도 홍보 전략을 다시 정비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의 도발에 단호히 대처하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독도 홍보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dsu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