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특수단, 12일 정례 브리핑

[헤럴드경제=이용경 기자] 경찰이 윤석열 전 대통령 집무실 CCTV 영상과 비화폰 서버를 대통령경호처로부터 임의 제출받는 방안을 놓고 협의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일부 기록은 포렌식 작업 등을 통해 복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12일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사에서 열린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임의제출 관련 협의를 4월 말부터 계속 진행하고 있다”며 “포렌식 작업을 통해 서버 기록이 어느 정도 복원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 아직 임의제출이 완료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라고 말할 수는 없다”라고 덧붙였다.
현재 경찰은 윤 전 대통령의 집무실 CCTV 영상에 대해서도 “열람 방식을 통해 제출받을 범위 등에 대해 경호처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관계자는 “임의제출이 완료되기 전이라 구체적인 협의 관련 내용을 말할 수는 없다”며 “최대한 많은 자료를 임의 제출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경찰 특수단은 아울러 비화폰 서버 등 자료 확보 이후 증거능력이 불거지지 않도록 피의자인 윤 전 대통령과 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 등에 대한 포렌식 절차 참관 등에 관해서도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특수단 관계자는 “논쟁 소지를 없애기 위해 최대한 절차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협의해서 진행하는 상황”이라며 “(윤 전 대통령 등의)직접 참관이 필요한 부분은 변호사들과 논의를 통해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윤 전 대통령의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와 관련한 소환조사 계획에 대해서는 확보된 자료 분석 이후에 추진할 방침이라고 경찰은 밝혔다.
특수단 관계자는 “임의제출 자체도 아직 완료되지 않은 상황이라 관련 자료 분석 및 확인 작업이 필요하다”며 “이후에 필요한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전 차장과 이광우 전 경호본부장, 박종준 전 경호처장 등에 대해서도 이 같은 절차가 완료된 이후에 처분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의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의혹 수사와 관련해서는 추가 증거 확보, 참고인 조사, 법리 검토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특수단 관계자는 이 전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 신청 가능성에 대해서도 “지금 단계에서는 얘기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yk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