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략 거점 ‘배스트럽 캠퍼스’ 준공

4.6만㎡ 부지에 생산·연구시설 구축

2030년까지 2.4억달러 추가 투자

현지 생산으로 관세 리스크 선제 대응

LS일렉트릭은 14일(현지시간) 텍사스주 배스트럽(Bastrop)시에 생산과 연구, 설계 등 북미 사업 지원 복합 캠퍼스 ‘LS일렉트릭 배스트럽 캠퍼스’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날 준공식에서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이 환영사를 하는 모습. [LS일렉트릭 제공]
LS일렉트릭은 14일(현지시간) 텍사스주 배스트럽(Bastrop)시에 생산과 연구, 설계 등 북미 사업 지원 복합 캠퍼스 ‘LS일렉트릭 배스트럽 캠퍼스’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날 준공식에서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이 환영사를 하는 모습. [LS일렉트릭 제공]

[헤럴드경제=고은결 기자]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은 지난 14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배스트럽(Bastrop)시에서 열린 ‘LS일렉트릭 배스트럽 캠퍼스’ 준공식에서 환영사를 통해 “미국 전역에 생산·기술·서비스 인프라를 확장해 사업 밸류체인 전 분야에서 현지화를 추진해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번 투자는 LS일렉트릭의 해외 매출 비중 70%, 미국 톱4 전력기업이라는 목표의 첫 출발점”이라고 밝혔다.

구 회장은 또한 “미국 시장과 배스트럽 캠퍼스는 LS일렉트릭의 글로벌 기업 도약의 확실한 디딤판이 될 것”이라며 “오는 2030년까지 2억4000만달러를 추가 투자해 생산 시설을 확충하는 것은 물론 현지 인력을 채용해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북미 전력 솔루션 허브로 키워가겠다”고 말했다.

LS일렉트릭 배스트럽 캠퍼스는 생산과 연구, 설계 등 북미 사업 지원 복합 캠퍼스다. 이날 준공식에는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과 존 커클랜드 배스트럽 시장 등 LS일렉트릭과 텍사스 주정부, 지역 산업계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했다.

LS일렉트릭 배스트럽 캠퍼스 전경. [LS일렉트릭 제공]
LS일렉트릭 배스트럽 캠퍼스 전경. [LS일렉트릭 제공]

배스트럽 캠퍼스는 면적 4만6000㎡ 규모 부지에 건물 연면적 약 3300㎡ 규모로 조성돼 ‘생산-기술-서비스’를 아우르는 북미 사업 복합 거점 역할을 맡게 된다. LS일렉트릭은 지난 2023년 해당 부지 및 부대시설을 확보해 건물 증축, 리모델링 등을 진행하고 생산설비를 단계적으로 구축해 왔다.

LS일렉트릭은 올해부터 현지 빅테크 기업 데이터센터에 납품하는 중·저압 전력기기와 배전시스템(Switch Gear) 등을 본격 생산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현지 생산에 따라 관세 압박도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번 배스트럽 캠퍼스와 유타주 시더시티에 위치한 배전시스템 생산 자회사 ‘MCM엔지니어링Ⅱ’을 양대 거점으로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LS일렉트릭은 지난해 북미에서 약 1조3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지난달에는 1600억원 규모의 빅테크 데이터센터 배전시스템 공급 사업을 수주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배스트럽 캠퍼스 준공을 통해 북미 시장에서 LS일렉트릭의 입지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ke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