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 미 자동체 관세 관련 민관 합동 긴급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 미 자동체 관세 관련 민관 합동 긴급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3일부터 외국산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 “업계와 긴밀히 공조하여 대응방안을 강구해나가는 한편, 관계부처와 함께 자동차 산업 비상대책을 내달 마련·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 장관은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자동차 기업 및 관련 협회·연구기관들이 참석한 미 자동체 관세 관련 민관 합동 긴급 대책회의에서 “미 정부의 관세 부과로 우리 자동차 기업들의 對美 수출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현대차, 기아차, 만도, 현대모비스, 인팩,자동차협회, 자동차 부품조합, 한국자동차연구원, 산업연구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미 정부의 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업계의 영향 및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미국에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오는 4월 3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부품은 오는 5월3일(현지시간)이전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대상은 모든 외국산 자동차와 핵심부품이지만, 주로 한국, 일본, 유럽, 멕시코, 캐나다에서 생산된 자동차와 핵심부품이 타깃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써 트럼프발 글로벌 관세전쟁의 전선이 더욱 확대되게 됐다. 특히 자동차가 대미 수출 품목 1위인 한국으로선 큰 타격이 예상된다.

미국-멕시코-캐나다 자유무역협정(USMCA)에 따라 수입된 자동차·자동차부품의 미국산 비율 인증시 비미국산 부품 비중에 대해서만 25% 관세가 부과된다. 부품은 절차 확립 전까지 관세 면제다.

정부는 “업계와 긴밀하게 공조하여 대응방안을 강화해 나가는 한편, 우리 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 정부와 적극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