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KDI와 ‘초고령사회의 빈곤과 노동’ 심포지엄 개최
주택연금 잠재수요 30% 넘는데, 가입률 1.89%에 불과
이창용 총재 “연금 수요 실현되면 34.9조원 현금 창출”
집값 연금에 반영하고, 상속·세제 혜택으로 활성화해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5일 노인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택연금 등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은 15일 오후 KDI 공용동 6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KDI-한국은행 공동 심포지엄에서 환영사를 발표하고 있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한국은행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5/15/news-p.v1.20250515.48a6aca16bac4682944c457b96af3dc5_P1.png)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노인 빈곤 문제의 해법으로 주택연금을 적극 이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한국은행에서 나왔다.
주택연금은 고령자가 자신이 소유한 주택을 담보로 맡기고 거주를 유지하면서 평생 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제도다. 그러나 높은 잠재 수요에도 불구하고 실제 가입률은 2024년 10월 기준 1.89%에 그치고 있어 제도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15일 한은이 ‘초고령사회의 빈곤과 노동: 정책 방향을 묻다’ 심포지엄에서 발표한 ‘주택연금과 민간 역모기지 활성화를 통한 소비 확대 및 노인빈곤 완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55세 이상 주택보유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35.3%는 현행 주택연금에 대해 향후 가입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상품 구조를 개선하거나 정보 제공을 강화할 경우 가입 의향은 평균 41.4%까지 상승했다. 예컨대 주택가격 상승분이 연금액에 반영되는 구조로 개편될 경우 39.2%, 상속이 용이해질 경우 41.9%, “가입 후 집값이 올라 손해 보는 일은 없다”는 정보를 제공할 경우 43.1%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는 높지만 실제 가입률이 낮은 이유에 대해 응답자들은 ▷받는 연금 총액이 집값보다 적을 수 있다는 손실 우려 ▷집값 상승이 연금에 반영되지 않는 구조 ▷주택 상속을 희망하는 경향 등을 꼽았다.
한은은 이에 주택연금 제도를 개선해 가입을 적극 유도토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주택가격 변동이 연금액에 반영되는 상품 개발 ▷상속 관련 요건 완화 ▷세제 혜택 등 가입 유인 등이 제시됐다.
만약 주택연금 활성화에 성공할 경우에는 30조원이 넘는 현금흐름이 창출되고, 30만명이 넘는 이들이 빈곤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봤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5일 노인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택연금 등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은 15일 세종시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열린 KDI-한국은행 공동 심포지엄 ‘초고령사회의 빈곤과 노동: 정책 방향을 묻다’에서 조동철 KDI 원장(아랫줄 왼쪽 두 번째)을 비롯한 주요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아랫줄 오른쪽 두 번째) [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5/15/rcv.YNA.20250515.PYH2025051513950001300_P1.jpg)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주택연금) 수요가 실현될 경우 매년 34조9000억원의 현금흐름이 창출되며, 이중 절반만 소비된다 하더라도 매년 17조4000억원의 민간소비가 창출되는 셈”이라며 “고령층의 현금흐름이 개선되면서 약 34만명 이상의 노인들이 빈곤에서 탈출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자산이 있는 모든 고령빈곤층이 연금화를 하는 경우에는 이 수는 더 늘어날 수 있다. 이 총재는 “자산을 연금화하는 경우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는 분들이 2021년 기준 약 122만명으로, 노인빈곤층의 약 37%에 달한다”고 강조했다.
민간 금융기관이 운영하는 역모기지 상품도 주택연금의 보완재로서 역할이 강조됐다. 한은 설문조사에서 민간 상품이 주택연금보다 더 유리한 조건일 경우 가입 의향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이에 민간 역모기지 상품의 가계부채 규제를 주택연금 수준으로 완화하고, 종신·비소구형 상품 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생명보험사의 시장 진입 유도, 정부와 민간 협회의 시장 인프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산업화의 초석을 놓고 한강의 기적을 일구신 분들이 황혼기에 빈곤으로 인해 고통받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라며 “자산을 유동화할 길을 열어준다면 많은 고령층이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보유자산을 유동화해서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바람직한 정책 방향”이라고 덧붙였다.
th5@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