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이누야샤의 한 장면으로, 온라인 상에서 퇴사할 때 사용하는 이미지로 쓰인다.
애니메이션 이누야샤의 한 장면으로, 온라인 상에서 퇴사할 때 사용하는 이미지로 쓰인다.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입사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퇴사하는 신입 사원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인사담당자들은 ‘조기 퇴사’가 조직 분위기를 해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채용 정보 기업 인크루트가 국내 기업 인사 담당자 44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퇴사한 신입사원의 평균 근속 기간은 ‘3개월 이하’가 6.3%, ‘4개월∼1년 미만’이 32.9%, ‘1~3년’은 60.9%로 나타났다.

인사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이유는 ‘직무 적합성 불일치’가 58.9%로 1위였고, ‘낮은 연봉’(42.5%), ‘맞지 않은 사내 문화’(26.6%), ‘상사 및 동료 인간관계’(23.4%), ‘워라밸 부족’(17.1%), ‘기타’(7.7%) 등이 뒤를 이었다.

인사 담당자들의 80.5%는 조기 퇴사가 조직 분위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시간과 자원의 비효율성(37.6%), 재직자들의 업무 부담 상승(32.0%), 조직 문화 및 팀워크의 약화(15.9%), 재직자의 퇴사율 상승(13.9%) 등이 꼽혔다.

신입사원 1명 기준 채용부터 실무 투입까지 들어간 비용은 50만원 이하(35.9%), 300만원 초과(21.5%), 50~100만원(17.5%), 200∼300만원(12.6%), 100∼200만원(12.6%) 순으로 집계됐다.

다만 조기 퇴사에 대한 문제 의식에도 불구하고 실제 해결하려는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됐다. 인사 담당자의 34.5%만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를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라고 답한 것. 프로그램 종류는 장려금 및 포상 휴가 지급(52.6%), 멘토링 제도 운영(38.3%), 온보딩 프로그램 운영(37.0%) 등으로 조사됐다.


paq@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