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이 12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의 고(故) 채수근 상병의 묘역을 찾았다. [국민의힘 제공]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이 12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의 고(故) 채수근 상병의 묘역을 찾았다. [국민의힘 제공]

[헤럴드경제=김진 기자]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이 12일 ‘해병대원 순직 사건’의 피해자인 고(故) 채수근 상병의 묘역을 찾아 ‘수사 외압 의혹’ 규명을 약속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의 채 상병 묘역에서 참배를 마치고 언론 공지를 통해 “과거 윤석열 정부에서 있었던 일을 사과드린다”라며 “국민의힘이 수사 외압을 밝힐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채 상병이 사고를 당한 지 2년 정도 돼 가고 있다”라며 “정말 안타깝게도 이 사고의 원인에 대해서는 밝혀졌지만, 아직도 그간의 수사 외압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이어 “법치는 공정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라며 “수사의 성역이 없어야 된다”고 했다.

다만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채 상병 묘역을 찾지 않고 국가사회공헌자·연평해전·천안함 46용사 묘역 등을 참배했다. 김 후보는 채 상병 묘역을 찾지 않은 이유를 묻는 질문에 “서해 수호나 국토 수호를 위해 순직·순국한 대표적인 천안함 연평해전 순국선열들의 묘역을 몇 분만 참배했다”며 “일일이 참배하지 못한 점에 대해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했다.

한편 지난 2023년 7월 폭우 실종사 수색 중 급류에 휩쓸린 해병대원이 순직한 사건은 해병대 수사단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넘기는 과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 국방부 관계자들이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넘겨졌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해당 의혹 규명을 골자로 한 채상병 특검법을 21대 국회 임기 말부터 총 세 차례 발의해 통과시켰으나,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로 국회 재의 과정에서 부결됐다.


soho0902@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