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 항공엔진 국산화 맞손

대한항공 체계, 두산에너빌리티 엔진 개발 계획

고민석(오른쪽) 두산에너빌리티 GT개발 담당과 김경남 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원장이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 제공]
고민석(오른쪽) 두산에너빌리티 GT개발 담당과 김경남 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원장이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 제공]

[헤럴드경제=한영대·양대근 기자] 대한항공과 두산에너빌리티는 항공엔진 개발 및 무인 항공기 개발 사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특히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해 한국항공우주(KAI)에 이어 이번에 대한항공과 협력을 약속하며 국내 항공기 체계 2개사 모두와 파트너십을 갖추게 됐다.

이번 MOU 체결을 통해 대한항공은 항공기 체계, 두산에너빌리티는 항공엔진 개발을 맡을 계획이다. 양사는 ▷5000~1만5000lbf(파운드포스)급 중대형 무인기용 엔진 ▷100~1000lbf급 소형 무인기용 엔진 등의 개발에 협력할 예정이다.

항공엔진은 항공기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기기다. 미국과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 세계적으로 소수 국가만이 항공엔진 자체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엔진 자체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들이 기술 수출을 엄격히 제한하면서 항공엔진 조기 국산화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항공엔진 국산화는 물론 경쟁력 있는 무인기 체계 구축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두산에너빌리티도 항공엔진 개발에 더욱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항공엔진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발전용 가스터빈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항공엔진 개발의 핵심이 되는 고온부품 자체개발 역량도 보유하고 있다.

김경남 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원장은 “이번 협력을 계기로 항공기 개발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두산에너빌리티를 비롯한 국내 엔진 개발업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손승우 두산에너빌리티 파워서비스 비즈니스그룹(BG)장은 “소형에서 중대형에 이르는 항공엔진 라인업 국산화를 목표로 협력과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며 “그간 발전용 가스터빈 사업에서 쌓은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항공엔진 기술 개발과 사업 확대에 적극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yeongdai@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