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27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일 지정을 촉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하자 조합원들이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파업 대회에 참가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27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일 지정을 촉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하자 조합원들이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파업 대회에 참가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

삼성·GM 등 대기업 파업 증가·12월 공공기관 파업 등 영향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지난해 파업으로 인한 근로손실일수가 45만6863일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직전 연도와 비교해 30%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1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실이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파업 근로손실일수는 45만6863일로 전년 35만5222일 대비 29% 증가했다.

근로손실일수는 노사분규(노동조합과 사용자 간 의견 불일치로 노조가 하루 8시간 이상 작업을 중단한 경우)가 직접적인 원인이 돼 발생한 사회적 손실을 근로일수로 측정한 지표다.

윤석열 정부 들어 2022년 34만3800일, 2023년 35만5222일로 안정적 기조를 보였던 근로손실일수는 2024년 대기업 파업과 파업 기간이 늘어난데다 12월 공공기관 파업 등의 여파로 큰 폭 증가했다. 다만 탄핵 정국을 겪은 박근혜 정부의 2016년 203만5000일, 지난 문재인 정부의 2020년 55만4000일 등과 비교하면 낮은 수치다.

고용부 관계자는 “대기업 등 노조가 연례 파업을 줄였고, 노조 활동 방식이 강경 파업보다 적극 교섭으로 바뀐 영향”이라며 “법과 원칙을 지키고자 정부와 노사가 함께 노력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해 근로손실일수는 전년보다 증가했지만, 노사분규 건수(131건)는 2023년 223건 대비 60% 수준으로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에서의 근로손실일수가 25만8580일로 전체의 57%를 차지했다. 작년 여름부터 삼성전자와 GM 노조가 진행한 파업 영향이 컸다. 운수·창고·통신업이 6만6116일, 사회·개인서비스업이 4만7346일이었다. 건설·도소매업 등 기타가 7만8865일이었다.

규모별로 보면 1000인 이상 사업장에서의 근로손실일수가 39만5583일로, 전체의 87%를 차지했다. 노사분규건수도 47건으로 가장 많았다. 50인 미만 사업장의 근로손실일수는 3144일로 가장 적었지만, 노사분규 건수는 31건으로 1000인 이상 사업장 다음으로 많았다.


fact0514@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