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국민 1000명 대상 민생경제 설문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에 가장 고통
2020~2025년 물가상승률 16.4% 달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주거안정 대책도 필요
![이달 1일 서울 이마트 은평점을 찾은 시민들의 모습 [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5/19/rcv.YNA.20250501.PYH2025050105230001300_P1.jpg)
[헤럴드경제=김현일 기자] 국민 10명 중 6명은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과 공공요금 부담 완화 등 물가안정 대책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대책’ 설문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0일 밝혔다.
국민 과반(53.5%)은 민생경제의 가장 큰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를 꼽았다. 뒤이어 ▷일자리 문제 및 고용불안(11.3%) ▷주거비 상승 및 전·월세 부담 증가(10.0%) ▷경기 둔화 및 내수 위축(7.2%) ▷소득 정체 및 실질임금 감소(6.8%) 등을 지적했다.
최근 소비자물가가 2% 초반의 안정세를 유지하고는 있지만 한경협은 누적 기준으로 보면 고물가가 장기화하고 있어 국민들이 체감하는 물가 수준은 여전히 높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2016년(95.78)에서 2020년(100)까지 물가상승률은 4.4%였으나 2020년(100)부터 2025년 4월(116.38)까지는 16.4% 상승했다.
국민들이 가장 바라는 민생회복 과제 역시 ‘물가 안정’(60.9%)으로 조사됐다. 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부터 50대까지 모두 ‘물가 안정’을 1순위 과제로 꼽았다. 특히 50대의 응답 비율이 64.9%로 가장 높았다.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우선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35.9%)’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공공요금(전기·가스·수도) 부담 경감(21.8%) ▷환율 변동성 완화·수입 물가 안정(17.2%) ▷세금 부담 완화·생활비 지원 강화(17.1%) ▷에너지·원자재 가격 안정(7.8%) 등의 순이었다.
2순위 과제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선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 고용 지원 강화’가 시급하다는 응답(31.9%)이 가장 많았다. ‘공공·사회서비스 일자리 확대(6.4%)’ 응답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3순위 과제인 주거 안정을 위한 정책으로 ‘주택공급 확대·부동산 시장 안정’의 응답 비율(36.3%)이 가장 높았다. 이어 ▷전·월세 가격 안정 및 세입자 보호 강화(27.4%) ▷주거 취약계층 지원 확대(16.1%) ▷주택금융·세제지원 확대(13.2%) ▷도시 재생·주거 환경 개선(6.7%) 등으로 조사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와 경기침체 장기화로 국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체감물가와 직결되는 식료품·생필품 가격 안정을 위해 농산물 수입선 다변화, 유통구조 개선 등에 노력하고, 민간의 일자리 창출 여력 확충으로 가계의 소득창출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joz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