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511억원…전년比 10.7% 감소
“글로벌 소비변화 대응한 성장기반 마련”
![애경산업 CI [애경산업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4/29/news-p.v1.20250123.f92165b0471c419c97d7bb85dbf616f1_P1.jpg)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애경산업은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60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63.3% 감소했다고 29일 밝혔다. 1분기 매출액은 151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0.7% 줄었다.
1분기 실적 부진은 중국 시장의 소비 침체로 인해 화장품 사업이 주춤했기 때문이다. 화장품 사업의 1분기 매출액은 459억원, 영업이익은 1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2%, 88.4% 감소했다. 중국 시장의 소비 심리 위축과 플랫폼 경쟁 심화로 실적이 감소했다.
다만 애경산업은 글로벌 다변화 전략을 통해 다른 시장에선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밝혔다. 일본에서는 루나(LUNA) 신제품 출시를 통해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며 성장세를 지속했다. 미국에서는 AGE20’S(에이지투웨니스) 에센스 팩트, 선크림 등을 통해 소비자층을 넓혔다. 국내 시장에서는 디지털 채널 다각화와 다이소 채널 브랜드 라인업 확대로 시장 대응력을 높였다.
국가별 디지털 마케팅 전략도 강화했다. 중국에서는 SNS(사회관계망서비스) 바이럴 마케팅을 강화하고 왕홍(인플루언서) 협업을 추진했다. 일본에서는 걸그룹 아이브의 멤버 레이를 브랜드 앰버서더로 발탁해 인지도를 확장했다.
생활용품사업은 1분기 매출이 105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8% 줄었다. 영업이익은 49억원으로 26.0% 감소했다. 퍼스널케어 및 프리미엄 제품의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글로벌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했으나, 국내 채널 경쟁 심화 및 원가 상승 등 비용 부담으로 수익성이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생활용품사업은 주요 오프라인 유통채널 입점 확대로 본격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바디케어 브랜드 럽센트(LUVSCENT)는 일본 온·오프라인 채널에 신규 진출했으며, 미국에서는 케라시스(KERASYS)가 유통망을 넓혔다. 중국에서는 케라시스 등 퍼스널케어 제품의 판매가 호조세를 보였다.
애경산업은 “글로벌 소비 환경 변화와 주요 시장 상황을 반영해 프리미엄 기반 수익성 강화, 글로벌, 고성장 채널 플랫폼 대응 강화 등 전략을 수립하고 시장별 경쟁력을 높이겠다”며 “중장기적 성장 기반을 다져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spa@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