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로 국회에 진입한 계엄군은 북한 관련 사안으로 출동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에 군 수뇌부가 일선 대원들을 기만한 것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4일 “불법적 친위 쿠데타에 참여한 장병들로부터 계엄군 내부 동향과 임무 등에 대한 여러 제보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707특임단 대원들에겐 전날 저녁 8시쯤 ”북한 관련 상황이 심각함. 당장 출동해야 할 수도 있음“이라고 적힌 문자 메시지가 하달됐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국회 경내에 투입된 계엄군은 육군 특수전사령부 예하 707특수임무단 등으로, 이들은 2일부터 출동 대기 명령을 받았다.
결국 북한 관련 상황 조치를 위해 계엄군으로서 출동하는 줄 알았던 707특임단 대원들은 헬기를 통해 국회에 내린 뒤 구체적인 임무를 하달받지 못한 채 어리둥절해 했다는 게 박 의원의 주장이다.
이와 함께 육군 대위 출신 군 유튜버 ‘코리아세진’(육사 67기)도 군 수뇌부가 군인들을 속인 정황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2일 저녁 8시쯤부터 특수전사령부 요원들에게 전파된 내용인데, 군 수뇌부가 군인들을 속인 정황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대원들이 받은 문자 메시지에는 “북한 관련 상황이 심각함. 당장 출동해야 할 수도 있음”, “지휘부에선 헬기를 많이 언급함. 헬기를 타고 임무 수행해야 할 수 있음”, “이번 주, 다음 주 실 출동 가능성 있음. 당장 출동할 수 있게 준비할 것”, “국방장관께서 상황 발생하면 타 여단 신경 쓰지 않고 707 부른다고 언급했음” 등의 내용이 담겼다.
한편, 국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국회 경내에 계엄군 280여명이 진입했다. 이들은 국회 보좌진 등과 대치하다 본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되자 철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