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취임 이후 잇달아 대립각을 세워온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의 대통령과 개최한 정상회담에서 남아공의 ‘백인 농부 집단살해’ 의혹을 공개적으로 제기하고 해명을 요구했다.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취임 이후 잇달아 대립각을 세워온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의 대통령과 개최한 정상회담에서 남아공의 ‘백인 농부 집단살해’ 의혹을 공개적으로 제기하고 해명을 요구했다. [로이터]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의 대통령과 개최한 정상회담에서 남아공의 ‘백인 농부 집단살해’ 의혹을 공개적으로 제기하는 등 갈등을 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실체를 둘러싼 논란이 있는 ‘백인 농부 집단 살해’의혹을 거론했다.

두 정상은 언론이 지켜보는 가운데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서로 인사말과 덕담 등을 나눴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들의 질문을 허용하면서부터 논의의 주제는 이른바 ‘백인 농부 집단 살해’ 관련 의혹으로 옮겨갔고 양 정상 간에 공방이 이어졌다.

기자들이 자리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일반적으로 (집단 살해 피해를 보는 사람은) 백인 농부들”이라며 “그 농부들은 흑인이 아닌 백인”이라고 주장한 뒤 “그들은 남아공을 떠나고 있다. 이것은 슬픈 일”이라고 말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당신(라마포사 대통령)은 그들이 땅을 빼앗도록 허용하고, 그들은 땅을 빼앗을 때 백인 농부를 살해한다. 그들이 백인 농부를 살해해도 그들에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우리가 그에 대한 설명을 듣길 원한다”며 “나는 당신이 그것(학살)을 원치 않을 것임을 알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정상회담 중 참모에게 남아공에서의 백인 농부 학살 의혹과 관련된 영상을 상영하도록 했으며, 백인 희생자 관련 기사를 출력한 종이 뭉치를 라마포사 대통령에게 건네기도 했다.

영상은 대규모 집회에서 극좌 야당 정치인인 줄리어스 말레마가 ‘보어인(네덜란드 이주민)을 죽이고, 농부들을 죽이자’라는 흑인차별정책 시행 시기의 악명 높았던 구호를 외치고, 토지 몰수를 주장하는 장면과, 트럼프 대통령이 ‘백인 농부 1000명이 묻힌 곳’이라고 주장하는 장소를 향해 이동하는 차량 행렬 등을 담았다. 당황한 라마포사 대통령은 영상에 등장한 선동 연설은 정부 정책과 배치되는 소수 정당 관계자의 주장일 뿐이라고 항변한 뒤 “누구도 토지를 빼앗을 수 없다”고 반박했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이어 “우리나라에 범죄가 있고, 사람이 죽는다”면서 “범죄에 의해 죽는 것은 백인만이 아니다. 대부분 흑인”이라고 해명했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백인 농부 1천명이 매장된 곳’이라고 지목한 영상 속의 장소에 대해 “어디인지 알고 싶다. 나는 저것을 본 적이 없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또 “넬슨 만델라(전 남아공 대통령)로부터 우리는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탁자에 앉아서 대화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제기한 우려 사항에 대해 논의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이에 앞서 미-남아공 관계 리셋(재설정)을 할 필요가 있다면서 남아공에 풍부한 희토류 등 핵심 광물을 포함한 양국간 교역 확대와 투자 촉진을 의제로 삼고 싶다고 했지만 논의는 트럼프 대통령의 ‘백인 농부 집단살해’ 주장 쪽에 집중됐다.

백악관은 또 정상회담 뒤 이날 회담 때 상영했던 동영상을 엑스(X)의 백악관 공식 계정에 ‘방금전 집무실에서 선보였던 영상:남아공의 박해 증거’라는 제목으로 그대로 올렸다.

이날 배석한 남아공의 골프 스타 어니 엘스와 남아공 정부 측 인사 등이 잇달아 일어나 트럼프 대통령의 ‘백인 차별 및 박해’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이후 남아공에서 백인 농부가 박해와 살해를 당하고 있다는 주장을 계속해왔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남아공에 대한 원조를 중단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고 지난 3월에는 주미 남아공 대사를 ‘외교적 기피인물’(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지정하고 추방하기도 했다.

아울러 모든 난민 수용을 중단한 가운데 유일한 예외로, 남아공 아프리카너(Afrikaners·17세기 남아공에 이주한 네덜란드 정착민 후손) 백인 49명을 난민으로 받아들여 정착을 돕기도 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1월 남아공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할지에 대해 질문받자 “미국이 없으면 그것은 이전과 같은 의미를 갖지 못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는 G7(미국·일본·영국·캐나다·독일·프랑스·이탈리아 등 주요 7개국)이 러시아를 회원으로 유지했더라면 우크라이나전쟁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binna@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