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호 안양시장.
최대호 안양시장.

[헤럴드경제(안양)=박정규 기자]최대호 안양시장이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을 맞아 광주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았다.

최 시장은 16일 자신의 SNS를 통해 “오월의 진실 앞에 조용히 고개를 숙였습니다”라며 “녹음 짙은 참배길을 따라 묘역에 이르자, 민주 영령들의 숭고한 넋이 바람처럼 다가왔습니다”고 했다.

그는 “저는 말없이 그 앞에 섰습니다.한 송이의 헌화와 한 번의 묵념. 짧은 순간이었지만, 마음은 수십 년을 건너갔습니다.1980년 5월. 함성과 울음, 그리고 진실을 향한 뜨거운 외침이 지금도 이 땅에 살아 있음을 느꼈습니다”고 했다.

최 시장은 참배를 마친 뒤, 김후식 전 5·18부상자회장님, 정춘식 전 유족회장님, 이명자 전 오월어머니집 관장님, 그리고 유족 어머님들과 식탁을 나눴습니다. 단순한 간담회가 아니었습니다. 눈물과 기억, 삶의 무게가 고요히 흐르던 시간. 그 자체로 또 하나의 오월이었습니다”고 전했다.

이어 “오늘 함께하신 어머님들 중에는 공수부대의 첫 희생자이자 농아인이었던 故 김경철 님의 임근단 어머님, ‘소년이 온다’ 의 실존 주인공 문재학 군의 김길자 어머님, 사진 속 ‘꼬마상주’의 어머니이자 故 정동년 전 5·18기념재단 이사장의 배우자 정동순 어머님, 수십 년의 기다림 끝에 아들의 유해를 유전자 감식으로 찾아낸 이근례 어머님도 계셨습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름 하나하나가 그 자체로 역사였습니다. 그분들의 손끝 떨림과 눈빛, 짧은 말 한마디 한마디에

무게가 담겨 있었습니다. 오월은 끝난 역사가 아닙니다. 진실을 외면하지 않고 기억하려는 이들의 마음 속에서 지금도 살아 숨 쉬고 있습니다. 저는 다시 다짐했습니다. 그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그 진실이 잊히지 않도록.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오월의 어머니들이 들려준 고요한 용기와 꺾이지 않은 삶의 이야기 앞에 다시 한 번 깊이 고개를 숙입니다고 덧붙였다.


fob140@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