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2월 ‘통화 및 유동성’ 통계 발표

사진은 서울 시내 한 은행 창구 모습 [연합]
사진은 서울 시내 한 은행 창구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기준금리가 계속 떨어질 것이란 인식이 퍼지면서 정기 예·적금 등에 뭉칫돈이 유입되고 있다.

15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2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평잔)은 4229조5000억원으로 전월보다 0.6%(25조7000억원) 많았다. 2023년 6월 이후 21개월째 증가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이들 금융상품 가운데 정기 예·적금과 금전신탁이 한 달 사이 각 8조5000억원, 4조9000억원 증가했다. 반대로 CD 등 시장형 상품과 금융채는 각 3조5000억원, 2조7000억원 줄었다.

한은 관계자는 “정기 예·적금의 경우 금리 하락 전망에 따른 예금자의 선제적 자금 예치 등에 늘었다”며 “예금취급기관들이 예·적금을 중심으로 자금을 조달하면서 시장형 상품과 금융채는 줄었다”고 밝혔다.


th5@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