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기업 건의·애로사항 조사…통계기반 확충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25일 “서비스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성장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민관 합동 서비스산업 발전 전담반(TF) 회의를 열고 “서비스 산업의 질적 성장을 위한 전략적 접근을 확대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연합]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연합]

이날 회의에서는 ▷서비스산업 정책 성과와 향후 추진 방향 ▷서비스 연구개발(R&D) 가이드라인 개선 방안 ▷숙박업 제도 개선 추진 방향 등이 논의됐다.

정부는 주요 경제단체와 협력해 반기별로 서비스 기업의 건의·애로사항을 조사할 계획하고, 서비스산업 관련 통계도 확충해 정책 추진 기반을 강화하기로 했다.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접목을 적극 지원하고 규제 샌드박스 사업과 관련된 제도도 신속히 정비할 방침이다.

서비스 산업의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식재산 수출, 방한 관광 지역 확산 등 구조 개선에도 속도를 낸다. 서비스 R&D 가이드라인은 구체적인 사례와 세제 지원 가능 여부 등에 대한 설명을 추가해 보강했다.

김 차관은 숙박업 제도개선 TF와 관련해서는 내국인 도시 민박 허용 등에 필요한 법령 개정이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관계부처의 노력을 당부했다.


y2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