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조합원들이 18일 대의원대회에서 대주주 MBK파트너스를 규탄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마트노조 제공]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조합원들이 18일 대의원대회에서 대주주 MBK파트너스를 규탄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마트노조 제공]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노조가 점포 폐점과 인력 구조조정 저지를 위한 ‘홈플러스 살리기 투쟁본부’를 구성했다고 25일 밝혔다.

강우철 마트노조 위원장은 “MBK파트너스가 제출할 기업회생 계획서에 점포 폐점이 포함될 수 있다. 1개 점포가 폐점되면 약 1000명의 노동자와 임대 사업주들이 거리로 내몰리는 상황”이라며 “온전한 홈플러스를 지키기 위한 싸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 위원장은 투쟁본부 상임 본부장을, 안수용 홈플러스지부장은 공동 본부장 겸 상황실장을 맡았다. 홈플러스지부 산하 각 지역본부도 모두 투쟁본부로 전환된다. 홈플러스 직영직원뿐 아니라 온라인 배송 기사와 협력·외주업체 노동자들도 참여한다.

안수용 홈플러스지부장은 “세일앤리스백(매각 후 재임대) 방식의 점포 재계약이 불발될 경우 그 여파는 막대하다”며 “영등포, 동수원, 센텀시티, 금천점, 삼천포, 잠실점, 죽도, 파주운정점 등이 2026년과 2027년 재계약을 앞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매장들은 홈플러스 매출 상위 점포로, 임대업자들이 임대료 미납을 이유로 계약을 갱신하지 않을 경우 수천 명의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홈플러스 대형마트 126개 중에서 임대 점포는 절반이 넘는 68개에 이른다. 그동안 홈플러스는 이들 매장 임대주에게 연간 두 차례 또는 세 차례에 걸쳐 임대료를 지급했으며 연간 임대료는 4000억원대이다.

홈플러스는 지난 4일 기업회생 절차 개시 이후 임대료 지급을 정지했으며 다음 달 초 임대주들과 임대료 조정 협의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투쟁본부는 이날 MBK파트너스에 공문을 보내 김병주 회장과 면담도 요청했다.

마트노조는 “MBK파트너스가 기업회생을 빌미로 점포 축소와 구조조정을 추진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노동자들에게 돌아간다”며 “책임 있는 회생 방안을 내놓고 고용 안정과 상생을 위한 대화에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spa@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