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기순이익 전년 대비 5.5% 증가

영업외손실 확대에도 대손비용 줄어

이자이익 59.3조, 비이자이익 6조

“충분한 손실 흡수능력 확충 유도”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지난해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이 1조원 이상 늘어나며 역대 최대치를 또다시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60조원에 육박하는 이자이익을 거둔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22조4000억원으로 2023년(21조2000억원) 대비 5.5%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4년 전과 비교하면 10조원 이상 증가한 수치로 은행의 순이익 규모는 매년 가파르게 불어나고 있다.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사태로 인한 1조4000억원 상당의 배상비용 등 영업외손실이 확대됐음에도 대손비용이 3조1000억원 줄어드는 등의 영향으로 순이익이 증가했다고 금감원은 분석했다.

국내 은행의 이자이익 현황 [자료=금융감독원]
국내 은행의 이자이익 현황 [자료=금융감독원]

항목별로 보면 이자이익은 59조3000억원으로 이자수익자산 증가 등의 영향으로 2023년(59조2000억원) 대비 1000억원 늘었다. 다만 이자이익 증가율은 2022년 21.6%에서 2023년 5.8%, 2024년 0.2%로 크게 둔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순이자마진(NIM)도 1.57%로 2023년(1.65%)보다 0.08%포인트 줄었다. 분기별로 봐도 2022년 2분기를 고점으로 지속 감소하는 추세다. 순이자마진은 금융회사의 자산 운용 수익에서 조달 비용을 뺀 뒤 운용자산 총액으로 나눈 값으로 금융회사의 수익 능력을 나타낸다.

국내 은행의 비이자이익 현황 [자료=금융감독원]
국내 은행의 비이자이익 현황 [자료=금융감독원]

지난해 비이자이익은 2023년(5조8000억원) 대비 2000억원(2.9%) 증가한 6조원을 기록했다.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유가증권매매손익 등 관련 이익이 5조8000억원으로 전년(5조원)보다 늘었고 수수료이익도 5조1000억원에서 5조6000억원으로 5000억원 증가했다.

비용 측면에서 보면 지난해 판매비와 관리비는 27조4000억원으로 전년(26조5000억원) 대비 9000억원(3.2%) 증가했다. 인건비와 물건비도 각각 16조5000억원, 10조9000억원으로 2023년보다 6000억원, 2000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대손비용은 6조9000억원으로 전년(10조원) 대비 3조1000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손충당금 산정방식 개선으로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한 기저효과 등에 따른 것이다.

2024년 국내 은행의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58%로 전년(0.58%)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7.80%를 기록하며 전년(7.88%) 대비 0.08%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미국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취약부문 중심의 신용리스크 확대 우려도 지속되고 있다”면서 “은행이 위기 확대 시에도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 흡수능력 확충을 지속해 유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ehki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