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정 대변인, “위기 처한 한국 경제 현실 진단하고 해법 찾을 적임자”
이날 국무회의서 청와대 이전 관련 예비비 259억원도 의결
용산 이전 관련 예비비인 378억원 보다 119억원 줄어

[헤럴드경제=서영상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기획재정부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차관급 인사를 단행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같은 인선을 발표했다.
기획재정부 1차관에는 이형일 통계청장이 임명됐다. 이 1차관은 주요 정책 라인 경험이 풍부한 거시경제 전문가로, 1998년 IMF 외환위기 직후 금융정책국을 경험하는 등 위기에 강한 인물로 평가된다. 강 대변인은 “국제적인 감각을 갖췄고, 기재부 내부 에서 닮고 싶은 상사 세차례에 선정될 정도로 신망이 두텁다”며 “복합적인 위기에 처한 한국 경제의 현실을 진단하고 해법을 찾을 적임자”라고 말했다.
2차관으로 임명된 임기근 조달청장도 기재부의 핵심 보직을 두루 거친 자타공인 예산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정책 조정과 성장 전략 분야의 전문성을 겸비했다.
강 대변인은 “적극 재정으로 위기 극복의 마중물이 되고 성장 전략의 토대를 닦을 예산 정책 전문가로서 앞으로의 활약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외교부 1차관에는 박윤주 주아세안대표부 공사가 발탁됐다. 박 1차관은 외교부 북미국 심의관 등 오랜 워싱턴 경력을 바탕으로 북미 지역 현안 해결에 탁월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트럼프 2기 최우선 과제인 관세협상에서 국익을 위해 실용외교를 펼칠 적임자로 평가받는다.
외교부 2차관에는 김진아 한국외대 교수가 임명됐다. 김 2차관은 한미 연합사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하는 등 다양하고 입체적 경험이 돋보이는 인물이다. 강 대변인은 “다음주에 열리는 주요 7개국(G7) 회의를 포함해 다자 외교에서 대한민국의 국익을 지켜낼 인물로 큰 기대가 된다”고 전했다.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에는 문신학 전 대변인이 발탁됐다. 문 1차관은 석유와 가스, 원자력을 두루 거친 에너지통으로 산자부 장관 직속의 에너지 전환 국민소통 태스크포스(TF) 단장을 맡아 에너지 전환 정책에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강 대변인은 “RE100 규제 등 에너지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큰 상황에서 국내 에너지 산업을 총괄하며 미래 전환을 이끌어낼 적임자”라고 밝혔다.
통상교섭본부장에는 여한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이 임명됐다. 여 본부장은 문재인 정부 시절 한차례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통상정책국장으로 통상 정책을 총괄했고, 국제통상과 경제 협력 전반을 조망하는 정책 수립과 협상 능력이 탁월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강 대변인은 “미중 갈등과 관세 협상 등 세계적으로 거세진 통상 무역 갈등 속에서 경제 외교의 중심을 잡을 핵심 인재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고 했다.
한편 이날 브리핑에서는 국무회의에서 청와대 이전과 관련한 예비비가 의결됐다는 점도 발표됐다.
이날 의결된 청와대 복귀 관련 예비비는 총 259억 원으로 윤석열 정권의 용산 이전 관련 예비비인 378억 원 보다 119억원(69%) 줄었다.
강 대변인은 “공정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업체를 선정하고 사무실 배치는 소통을 강화할 수 있도록 배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는 과거 윤석열정부의 대통령실 이전 당시 업체 논란이 불거진 바 이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강 대변인은 “청와대로의 복귀는 업무 시간이 아닌 주말과 휴일을 이용해 순차적으로 실행될 예정”이라며 “순조로운 청와대 복귀와 더 나은 관람 환경 조성을 위해 청와대 관람을 조정하여 운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조정된 관람 운영은 6월 10일 화요일 오늘 발표 이후 청와대재단 누리집과 인스타그램에 게시될 예정”이라고 했다.
sa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