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에너지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에너지안보환경협회(협회장 이웅혁)가 차기 정부에 에너지 정책 독립기구 설립을 제언했다.
15일 오후 2시 서울 금천구 협회 회의실에서 열린 ‘제9차 에너지안보콜로퀴엄’에서는 차기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방향이 논의됐다.
발제자로 나선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2050년 하루치 전력을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배터리 비용이 무려 1000조 원에 이를 것”이라며 “재생에너지 중심의 체계가 지리적·기술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경고했다.
정 교수는 “현재의 탄소중립 역시 단순한 의지가 아닌 원자력과 같은 고밀도·무탄소 에너지로의 구조적 전환이 이뤄질 때에만 현실화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협회는 이날 ▷에너지 정책 독립위원회 설립 ▷재생에너지 정책 구조 재설계 ▷전기요금의 사회적 재설계 ▷에너지 및 광물 외교 전략실 신설 등 네 가지 에너지 정책 방향을 공식 제안한다.
이웅혁 협회장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책 방향이 뒤바뀌는 상황에서는 장기적인 에너지 계획이 불가능하다”며 “영국의 기후변화위원회처럼 정권과 상관없이 독립적 기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123@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