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물량 99.7% 책임, 해운업 안정성 확보 중요”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해양수산부가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와 대중 제재조치 예고 등 최근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 환경에 선제로 대응하기 위해 ‘해운물류분야 통상현안 비상대응반’을 본격 가동한다.
해수부는 이날 민·관·연 합동 비상대응반 첫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비상대응반에는 해수부 해운정책과·항만물류기획과를 비롯해 한국해운협회, 4개 항만공사(인천·부산·울산·여수), 한국해양진흥공사, 한국무역협회, K-물류TF,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이 참여한다.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 [뉴시스]](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4/16/news-p.v1.20250416.55e42fe8836145dd9cda026016c05c08_P1.jpg)
해수부는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와 유예 조치가 반복되고, 중국 등 주요국의 보복 관세 조치가 이어지면서 통상환경이 수시로 변동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이번 회의에서는 각국의 통상조치가 해운업계에 미치는 영향과 국내 수출입 물류 및 항만물류 애로현황을 긴급 점검하고, 관계기관과 필요한 대응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최근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수출 중심의 우리 경제에 큰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는 가운데 수출입물량의 99.7%를 책임지는 해운업의 안정성 확보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면서 “해수부는 민·관·연 합동의 해운물류분야 통상현안 비상대응반을 구성해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해운분야 리스크를 선제로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y2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