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생산기지 활용해온 삼성重
중국산 ‘철퇴’ 경고 미국
이달 ‘항만 수수료’ 규제 구체화

[헤럴드경제=박혜원 기자] 미국 트럼프 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철퇴를 예고한 가운데 중국에 하청을 두고 있는 국내 조선사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한국에 더 이상 선박을 생산할 도크(선박을 만드는 공간)가 없는 상황에서 중국을 활용하면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미국이 중국에 대한 견제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는 만큼 득보다 실이 클 공산이 있기 때문이다.
15일 업계 및 외신 등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지난 7일 오세아니아 지역 선주로부터 4778억원 규모로 수주한 유조선 4척을 중국 조선사 팍스오션(Paxocean)에서 건조하는 하청 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선형은 수에즈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초대형 크기 선박인 수에즈막스급으로 전해졌다.
삼성중공업과 중국 조선사의 협력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11월에도 수에즈막스급 탱커선 4척 건조 역시 팍스오션과 하청 계약을 맺고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전경 [삼성중공업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4/15/news-p.v1.20250304.29ecbcefc48c4caeaafc91f17f8802b4_P1.png)
국내 조선사로선 ‘하청 건조’는 전략적인 선택이다. 노후 선박 교체 수요로 최근 국내 조선사에 일감이 몰려들고 있지만, 정작 선박을 만드는 공간인 도크 수는 한정돼 있다. 여기에 유조선과 같은 탱커는 특히 가격 경쟁도 치열한만큼, 해외 생산기지를 활용하면 원자재나 인건비 측면에서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다만 일각에선 미국이 최근 중국산 제품에 경계를 높이고 있는 배경을 고려하면 이같은 전략에 리스크가 크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미국은 최근 글로벌 공급 시장에서 중국산 저가 제품을 밀어내겠다는 메시지를 노골적으로 내고 있다.
조선 업계에도 파장이 예고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서 발표를 앞두고 있는 중국 선박에 대한 항만 수수료 정책이다. 구체적으로는 미국 항구에 들어오는 중국 선사 소속 선박에 100만달러, 중국산 선박은 150만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최종 규제 방침은 이번달 중순께 나올 것으로 전해졌다. 직접적인 규제 대상에 중국 하청 건조 물량까지 포함될지는 최종 방침에 따라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조선 업계 한 관계자는 “이른바 고부가가치로 평가되는 친환경 선박이 아니더라도, 대형 탱커 역시 고도의 건조 기술이 필요한 선종”이라며 “건조 하청을 주는 과정에서 건조 기술이 일부 이전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더군다나 미국에서 중국의 조선업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에선 더욱 예민하게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는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k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