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제공]
[경북도의회 제공]

[헤럴드경제(안동)=김병진 기자]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는 지난 12일 제353회 임시회 기간 동안 제1차 회의를 열고 메타AI과학국, 기획조정실, 경제통상국, 미래전략기획단 소관 조례안 및 동의안 등 총 10개 안건을 심의ㆍ의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경북도 백신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경북도 케이(K)과학자 선정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수정 가결했다.

또 △경북도 인공지능 윤리기반 조성에 관한 조례안 △경북도 디지털의료제품 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안 △경북도 지역정보화 기본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경북도 납세자 보호에 관한 사무처리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경북도 노인 등 대중교통 이용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분석했다.

그러면서 △2025년도 경제통상국 소관 출자 동의안 △경북도 K-과학자 지원 및 운영 공공기관 위탁ㆍ대행 동의안을 원안 가결했으며 ‘경북신용보증재단 정관변경 보고’에 대한 심의를 진행했다.

경북도 케이(K)과학자 선정 및 지원 조례안 심의에서는 ‘케이(K)과학자’의 선정 기준과 심의위원회 의결에 관한 사항을 수정하고 성과평가 기준에 관한 규정을 신설해 수정 가결했다.

이는 ‘케이(K)과학자 마을’ 조성 사업이 애초 목적과 취지에 걸맞은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원안의 케이(K)과학자 선정 기준과 성과평가 등에 대한 집행부의 자의적 개입 가능성 및 연임 규정의 불명확성 등에 대한 미비점을 수정안을 통해 보완했으며 추후 시행규칙 제정을 통한 세부 규정 마련 등 후속 조치를 통해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할 것을 주문했다.

‘경북 지방시대 벤처 펀드’ 및 ‘G-star 영호남 연구개발특구 펀드’ 출자와 관련해서는 펀드 운용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과 관리 방안이 미흡하다는 지적과 함께 동의안의 내용이 전반적으로 부실하다는 질책이 이어졌다.

지역 펀드가 모태펀드 등 외부 대형 펀드에 의존하기보다는 중소 규모일지라도 경북만의 펀드로 조성돼 지역 기업에 더 많은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고령자 대중교통수단 이용 요금 할인과 관련해서는, 고령층 증가 추세에 따른 수혜자 인구 변화를 대비한 장기적인 비용 추계의 필요성이 제기됐으며, 요금 할인뿐만 아니라 지역별 이용자 간 형평성 및 접근성 문제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선희 기획경제위원회 위원장은 “동일한 조례안이 이전에 지적된 사항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반복적으로 지적된 점은 매우 유감”이라며 “케이(K)과학자 마을 조성에 있어서는 향후 철저한 세부 계획 수립을 통한 실효성 있고 완성도 높은 사업 추진이 되도록 힘쓸 것을 거듭 당부한다”고 말했다.


kbj7653@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