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골공원 급식소, 한파에도 인파

귀마개 등 중무장한 수십명 식사

‘노인 성지’지만 저렴한 식당 줄어

서울의 최저기온이 영하 11.5도를 기록한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무료급식소 앞. 추위에도 배식을 기다리는 줄이 길게 늘어서 있다.
김도윤 기자
서울의 최저기온이 영하 11.5도를 기록한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무료급식소 앞. 추위에도 배식을 기다리는 줄이 길게 늘어서 있다. 김도윤 기자

“갈 곳도 마땅치 않고…. 밥 먹고 가려고 아침부터 와서 기다리고 있어.”

서울의 최저기온이 영하 11.5도를 기록한 지난 4일 오전 10시께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만난 문형석(73) 씨는 이렇게 말했다. 문씨는 노인 연금 30만원과 설에 자녀에게 받은 용돈 20만원, 총 50만원으로 한 달 생활비를 충당한다고 했다. 문씨는 매일 이곳 탑골공원으로 점심을 해결하기 위해 집을 나선다.

같은 날 낮 12시에도 탑골공원 인근 건물들의 처마 끝부분에는 듬성듬성 고드름이 매달려 있을 정도로 매서운 추위가 기승을 부렸다. 체감온도 영하 18.7도(서울 기준)의 한파가 덮쳤지만 무료급식을 받기 위해 이곳을 찾은 노인 수십명은 긴 줄을 만들며 기다리고 있었다. 무료급식소 왼쪽으로는 햇볕이 들었지만, 오른쪽은 그늘이었다. 두터운 외투와 모자·장갑으로 무장한 노인들은 그나마 추위가 덜한 양지에서 차례를 기다렸다. 탑골공원 주변에서 무료 점심 식사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원각’(작은 사진)에서는 밥 짓는 냄새가 퍼져 나왔다.

무료급식소의 점심 메뉴는 비빔밥과 시래기국. 급식소 안에 마련된 좌석은 25개 정도 됐지만, 빈자리는 없었다. 대부분은 패딩 모자를 덮어쓰고 귀마개를 쓴 채 식사를 했다. 치아 상태가 좋지 않아 비빔밥 재료는 받지 않고 밥과 국만 받아 후루룩 국에 밥을 말아서 삼키는 이도 보였다. 한 움큼 정도의 밥만 받아 오래 씹고 목으로 넘기는 사람도 있었다.

무료급식소에서 식사를 마치고 나온 사람들은 오른 물가로 한 끼 식사를 해결하기도 예전보다 녹록지 않다고 했다.

식사를 마친 윤모(76) 씨는 무료급식소 인근 무인 커피 자판기 앞에서 동전 300원을 넣고 커피가 나오길 기다리고 있었다. 기자가 식사를 잘했는지 묻자, 윤씨는 1만원짜리 지폐 한 장을 꺼내 보였다. 그는 “하루 생활비 만원으로 모든 것을 해결해야 한다. 예전엔 이발도 하고 밥도 먹고 점심 한 끼에 3000원만 받는 곳도 많았는데 요즘 물가가 너무 많이 올라 밥 사 먹는 것도 부담스럽다”고 했다.

종로구 돈의동 쪽방에서 생활한다는 배모(65) 씨는 아침을 거른 채 무료급식소를 찾았다. 평소 새벽 3시에 일어나 한 시간 반 가까이 걸어가면 서울 서대문구 구세군브릿지센터에서 제공하는 아침을 먹을 수 있지만, 날씨가 너무 추워 나서지 못했고 했다. 그는 “의정부나 청주에서 여기까지 밥 먹으러 오는 사람도 있다”며 “저렴한 식당은 점점 문을 닫고 있다”고 씁쓸해 했다.

그의 말처럼 한때 탑골공원에서 20년 가까이 자리를 지켜온 식당인 ‘부자촌’은 문을 닫은 상태였다. 부자촌은 소주 한 컵에 1000원짜리 잔술을 팔던 곳으로 유명했다.

사회복지원각은 1993년부터 노인과 노숙인에게 점심을 제공한다. 365일 내내 오전 11시30분부터 오후 1시20분까지 문을 연다.

이곳의 강소윤 총무는 “후원금이 자꾸 줄어든다. 비상계엄 이후로 더 상황이 힘들어졌다”며 “더운 날은 더워서 추운 날은 추워서 어르신들에게는 부담이 되는데 한 끼 식사라도 맛있게 하고 가셨으면 좋겠다”고 했다.

김도윤 기자


kimdoyo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