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종가 6개월 만에 1390원 아래로
美 신용등급 하향 따른 상황변화 촉각
美통상 협상서 ‘원화 절상’ 요구 관측
인위적 조정 따른 부작용 우려 경계심
![19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원/달러 환율 등이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17포인트(0.50%) 내린 2,613.70, 원/달러 환율은 5.5원 오른 1395.1원에 개장했다. [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5/19/rcv.YNA.20250519.PYH2025051901750001300_P1.jpg)
한미가 통상 협상에 본격적으로 돌입한 가운데 환율 실무협의도 시작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그 향방에 관심이 쏠린다. 미국이 주요 협상 카드로 원화 절상을 요구할 것이라는 관측이 확산하면서 원/달러 환율은 출렁이고 있다.
시장에서는 환율 하향 안정에 대한 기대감과 인위적 조정에 대한 경계심이 공존하는 분위기다. 특히 최근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의 미국 국가신용등급 하향조정으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상황 변화에 더욱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지난주 한미간 협의 소식이 전해지며 하락 흐름을 보여 1390원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실제 전거래일인 지난 16일 주간거래 종가는 1389.4원으로 1390원대 아래로 내려왔는데 이는 지난해 11월 8일(1386.4원) 이후 6개월여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19일에는 5.5원 오른 1395.1원으로 개장해 지속적으로 강한 변동 흐름을 보였다.
원/달러 환율이 한때 1500원선을 위협하며 ‘1400원대가 뉴노멀’이라는 진단이 지배적이었으나 최근 내림세를 보이는 것은 미국의 원화 절상 요구 관측이 수급에 반영된 영향이 크다고 시장은 보고 있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14일 한미가 외환시장 운영 원칙에 대한 상호 이해를 공유하고 논의를 지속하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가 이번 협상에서 환율 의제를 포함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환율이 한때 반등하며 요동치기도 했지만 시장은 여전히 환율 협상 전망을 주목하는 양상이다.
그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을 포함해 미국에서 무역 흑자를 내는 나라를 ‘환율 조작국’이라고 지목하며 상대국 통화가치를 끌어올려 자국 기업의 가격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여러 차례 내비쳐왔다. 한미 환율 협의가 과거 ‘플라자 합의’처럼 흘러가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플라자합의는 1985년 미국, 일본, 서독, 프랑스, 영국 등 주요 5개국이 미국 달러화의 가치를 인위적으로 낮추고 일본 엔화, 독일 마르크화 등 주요 통화의 가치를 높이기로 한 협정으로 그 결과 1달러에 240~250엔이던 환율이 1달러에 120엔까지 하락한 바 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16일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미 통상 협상에서 환율 등이 의제는 아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이슈를 묶어 타결하는 ‘원스톱 쇼핑’ 방식을 취하는 경우 모든 문제가 마지막 순간에 고려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지금처럼 글로벌 금융시장이 복잡하게 얽힌 상황에서 인위적인 환율 조정이 시장 불안과 실물경제 충격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한다. 시장 안정성 측면에서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최진호 우리은행 애널리스트는 “환율은 경제적 현상들의 원인이라기보다는 결과”라며 “만약 인위적으로 내린다고 하더라도 비상계엄령 이후 국내 정치적 리스크가 환율을 상승시킨 부분, 즉 예상하지 못한 정치적 충격을 제거하는 정도의 흐름만 되돌려야지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 이상으로 원화 가치를 가져가면 부정적인 작용이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국의 협상 과정에서 환율 변동성이 확대될 여지가 있는 만큼 이를 유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최예찬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대미 무역 흑자국일수록 관세를 대체하는 환율 협상 가능성이 높다”며 “영국과 중국 등 무역 협상이 진행된 선례를 고려하면 총 25%의 관세 중 국가별로 차등된 15%에 대해 협의할 공산이 큰데 5%의 관세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다른 요인이 일정할 때 원화가 4.8%가량 절상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는 현재 환율이 1400원이라고 할 때 1330원으로 낮추는 수준이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도 미국 측이 관세 협상 과정에서 통화절상을 요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달러화에 충격을 줄 정도의 절상 폭을 요구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절상 폭은 급격하지 않더라도 원화를 포함한 아시아 통화의 동반 절상 흐름이 이어질 개연성이 높다”고 관측했다.
한편 시장에서는 이번 강등 조치로 단기적으로 달러 자산 수요가 정체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박성우 DB증권 연구원은 “은행 자본 규제나 담보 관리 측면에서 받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도 “(이번 하향 조정이)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맞물리면서 미국 국채에 대한 해외 수요가 불안정해지고 국채 수급에 대한 시장 민감도는 더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은희·유혜림 기자
ehkim@heraldcorp.com
forest@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