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연합]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체중 감량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위고비 등 약물치료가 약을 끊으면 요요가 불가피한 만큼, 결국엔 다이어트 효과가 없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4일(현지시간) 옥스퍼드대학 연구팀이 유럽비만학회에서 발표한 연구결과를 인용해, 이 같이 보도했다.

연구팀은 위고비 등의 핵심성분인 GLP-1(글루카곤 유사 펩다이드-1)이 사용된 8건의 체중 감량 약물을 처방받은 성인 637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 실험과 관찰 연구 등을 진행했다.

그 결과,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체중 감량 약물을 통해 8kg을 감량하는데 성공했지만, 중단 후 10개월 이내에 원래 체중으로 복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와 일라이 릴리의 ‘무냐로(티르제파타이드)’ 등 최신 주사제를 받은 1465명도 이 같은 요요를 피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고비와 무냐로 주사를 맞은 사람들은 1년 안에 평균 16kg 감량에 성공했다.

그러나 주사를 끊은 지 1년 안에 체중이 9.6kg 다시 늘었다. 또 결과적으로 약 20개월 동안 원래 체중으로 돌아간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연구의 공동 저자인 옥스퍼드대 식단 및 인구건강 교수인 수잔 젭은 “체중 감량 약물들은 매우 효과적이지만, 약을 끊을 경우 일반적인 다이어트를 중단한 후 보다 체중 회복이 훨씬 빠르다”고 밝혔다.

예컨데, 다양한 식단을 통한 다이어트는 체중을 회복하는 효과는 훨씬 느리며, 원래 체중으로 돌아가는데 최소 5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비만포럼의 탐 프라이 회장은 “사람들이 생활 방식을 진지하게 개선하지 않고 GLP-1 약물을 사용했을 때 체중이 회복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며 “GLP-1을 사용하는 것은 많은 사용자들이 생각하는 만큼 빠른 해결책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유럽비만연구협회의 제이슨 할포드 회장도 “체중 감량 약물은 행동 변화의 보조제이지 대체제가 아니다”라며 “우리는 환자들이 치료의 혜택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 변화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yeonjoo7@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