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출연연 벽허물기 현장간담회 개최

- 경북대-ETRI 공동연구실 현판식도 열려

15일 경북대학교에서 열린 ‘대학-출연연 협력 강화를 위한 현장간담회’ 모습.[과기정통부 제공]
15일 경북대학교에서 열린 ‘대학-출연연 협력 강화를 위한 현장간담회’ 모습.[과기정통부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대학과 과학기술 정부출연구기관이 벽을 허물고 기술사업화에 힘을 합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는 15일 경북대학교에서 ‘대학-출연연 협력 강화를 위한 현장간담회’를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과기정통부와 교육부는 학-연 간 인적·물적 칸막이 제거, 공동연구 및 공동투자 기반의 기술사업화 지원 등의 학-연 협력 정책방향을 소개했다. 경북대와 ETRI는 ’학연플랫폼구축지원시범사업‘ 등 관련 사업을 통한 양 기관 협업 현황 및 계획을 발표했다. 마지막 순서인 자유토론 시간에는 학연 공동연구 및 공동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학·연이 서로 다른 강점에 기반하여 상호 성장하는 협력이 필요함이 강조됐다.

양 부처는 ‘추진전략’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공동 발간한 ‘학연 인력교류안내서‘를 현장에서 배포했다. 참가자들은 그간 학연 교류 시 기관 간 협의에 참고할 수 있는 정보가 많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번 안내서를 통해 기관 간 상호 호혜적인 방향으로 협의가 이루어져 교류가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또한 양 부처는 올해부터 신규로 착수하는 ‘학연 인력교류 지원 시범사업‘을 소개하고, 이 사업을 통해 공동연구과제 기반 없이도 학-연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초기 협력 부담을 대폭 완화할 예정이라며 현장의 참여를 독려했다.

간담회 이후에는 디지털 나노헬스케어분야 ‘경북대-ETRI 공동연구실’ 현판식을 개최하고, 학-연 간 강점 자원 공유를 통한 공동연구를 본격 가동하여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를 창출하겠다는 현장의 의지를 확인하였다.

‘경북대-ETRI 공동연구실’ 현판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과기정통부 제공]
‘경북대-ETRI 공동연구실’ 현판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과기정통부 제공]

오석환 교육부 차관은 “이번 추진전략은 현장에서 실제 필요로 하는 협력 기반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학-연 간 칸막이로 작용해 온 규제는 확실히 풀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빈번한 교류를 통해 공동연구부터 인재양성, 기술사업화까지 이어지는 지속가능한 협력 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그간 국가 산업·기술발전을 뒷받침해 온 출연연이, 축적된 우수 인프라를 대학과 공유하며 개방형 협력의 중심이 되어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역량을 한단계 제고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12대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학-연의 강력한 협력거점을 통해 기초원천연구부터 기술사업화까지 단절없는 전주기 협업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강구 중이며, 교육부 및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신규사업 등을 통한 본격 추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nbgko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