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김재현 기자]현 MB정부에 검거된 간첩이 이전 참여정부 때보다 40%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공안당국에 따르면 검찰과 국정원은 2008년 2월부터 이달까지 지하당 ‘왕재산’ 조직 지도부, 고(故)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 암살조, 탈북자 독총 암살기도범등 간첩 25명을 적발했다.검거 실적은 2008년 0명에서 2009년 2명, 2010년 10명, 2011년 5명, 2012년부터올 1월까지 8명 등이다.

특히 최근엔 위장형 간첩이 급증했다. 대부분 탈북자로 위장했다. MB정부의 탈북자 위장 간첩은 14명이나 검거됐다. 대남공작 조직들이 탈북자 위장 간첩을 침투시키는 이유는 남한 당국의 신문과정에서 일반 주민 출신의 탈북자로 위장할 경우 적발이 어렵기 때문이다. 당국의 신문만 통과하면 합법적인 신분을 획득하고 정착금ㆍ임대주택 등의 기반이 보장되는 점, 해외여행이 자유로워 지령수수 등 간첩 활동의 토대 구축이 용이한점 등도 감안된 것으로 풀이된다.

남파 기관도 다양해졌다. 대남공작 전담기구인 정찰총국(인민무력부 산하), 225국(노동당 산하, 구 대외연락부)은 물론 북한 체제 보위를 주된 임무로 해온 국가안전보위부와 군 보위사령부도 대남 공작에 적극 가담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탈북자 위장 간첩을 파견 기관별로 보면 보위부 7명, 정찰총국 4명, 보위사 2명, 225국 1명 등이다.

특히 최근 북한은 간첩이 신문과정에서 적발되더라도 공작 내용이 노출되지 않고 조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단 국내 침투 및 정착 후 임무를 부여하는 ‘선(先) 침투 후(後) 지령’ 전술을 구사하는 것으로 당국은 분석하고 있다.

한편 현 정부의 국보법 위반 사범은 170명 검거돼 지난 정부에 비해 4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