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두리가 아예 없는 ‘베젤리스’ 아이폰 컨셉 이미지 [유튜브 (@MobileFreakKD)]
테두리가 아예 없는 ‘베젤리스’ 아이폰 컨셉 이미지 [유튜브 (@MobileFreakKD)]

[헤럴드경제=박세정 기자] “테두리가 아예 없다” “이건 진짜 역대급이다”

지금껏 보지 못했던 ‘완전히’ 새로운 스마트폰이다. 애플이 오는 2027년 아이폰 20주년을 맞아 베젤(테두리)를 완전히 없앤 아이폰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화면 테두리를 줄이기 위한 제조사들의 도전은 계속 있었지만, 완벽한 ‘베젤리스’를 구현하는데는 아직 한계가 있다. 애플이 20주년 기술력을 집약한 ‘100% 베젤리스’를 구현해 아이폰 ‘대변혁’을 가져올 수 있을지 주목된다.

테두리가 아예 없는 ‘베젤리스’ 아이폰 컨셉 이미지 [유튜브 (@MobileFreakKD)]
테두리가 아예 없는 ‘베젤리스’ 아이폰 컨셉 이미지 [유튜브 (@MobileFreakKD)]

나인투파이브맥, 맥루머스 등 해외 IT전문매체와 블룸버그 등 외신은 2027년 출시될 아이폰 20주년 기념 제품은 베젤이 없는 아이폰으로 출시될 것으로 전망했다.

매체에 따르면 애플은 단일 유리 형태의 ‘올글래스 아이폰’을 목표로 제품을 개발 중이다. 유리가 4면모두 구부러지는 구조로, 화면 대 본체 비율이 100%에 가깝게 달성된다. 이 때문에 휴대폰 전면에서도 베젤이 전혀 보이지 않게 된다. 전면 디스플레이는 카메라 구멍도 없는 완벽한 베젤리스가 될 것으로 봤다. 전면 카메라와 Face ID 센서는 아이폰 처음으로 디스플레이 아래에 완전히 숨겨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애플은 기념적인 해에 과감한 제품 디자인 변혁을 선보여왔다. 앞서 지난 2017년 아이폰 10주년 기념 제품으로 선보인 ‘아이폰X’ 역시 기존 아이폰에서 디자인을 대대적으로 변신해 선보였다. 당시에도 베젤을 줄이고 홈버튼을 없애 풀 화면에 가깝게 디자인을 대폭 수정했다.

애플 베젤리스 아이폰 컨셉 이미지 [이미지 출처 기즈모차이나]
애플 베젤리스 아이폰 컨셉 이미지 [이미지 출처 기즈모차이나]

이와함께 20주년 아이폰 디자인 변화에 맞춰 배터리 역시 달라질 것으로 시장은 내다보고 있다.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솔리드 스테이트 배터리(Solid-state battery)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스마트폰의 베젤을 줄이는 것은 제조사들의 지속적인 도전 과제이기도 하다. 애플 외에 삼성전자 역시 주요 플래그십 제품에 베젤을 줄이는 시도를 계속해왔다. 대표적으로 올 하반기 선보이는 폴더블폰 ‘갤럭시Z 폴드7’의 경우, 전작 갤럭시Z 폴드6의 베젤(1.9㎜)보다 두께를 줄여 베젤이 1㎜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sjpar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