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화폐유통시스템 유관기관 협의회’

“수수료 올리고 편의점 채널 더 늘려야”

“현금 많이 쓰는 농어촌 ATM 축소 신중”

사진은 서울 시내에 설치된 4대 은행 현금인출기(ATM) [연합]
사진은 서울 시내에 설치된 4대 은행 현금인출기(ATM)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현금 없는 사회로 변화가 진행되면서 자동현금입출금기(ATM)의 수익성이 악화하고 수가 줄어 결국 농어촌 지역부터 현금 접근성이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한국은행에서 나왔다.

18일 한은에 따르면 김기원 한은 발권국장은 지난 14일 한은에서 열린 ‘화폐유통시스템 유관기관 협의회 2025년 상반기 정기회의’에서 “최근 현금사용 감소세 지속으로 국민들의 현금접근성이 저하되고, 화폐유통시스템 참가기관들의 경영여건도 악화되면서 화폐유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현금 없는 사회로의 변화가 지속되면서 ATM 등 기존 화폐 유통 시스템의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회의 참석자들도 비슷한 맥락에서 고충을 토로했다. 현금수송업체와 비금융 ATM업체들은 “현금취급 이외 부문으로의 사업 다각화 또는 인력축소 등 조직 효율화를 통해 대응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며 현금취급 사업의 지속을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이어 “자체적인 효율화 노력만으로는 ATM 운영에 한계가 있는 만큼 장기간 동결된 ATM 수수료의 현실화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농어촌 지역 등에서의 현금접근성 유지를 위해 ATM 축소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전통적인 은행점포 보다는 편의점 ATM 등을 새로운 접근 채널로 적극 활용하자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금융기관 공동 ATM 확대와 편의점 캐시백 활성화 등은 국민의 현금접근성 유지를 위한 실효성 있는 수단으로, 이러한 방안들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유관기관 간 긴밀히 협력해 나가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현금 없는 사회로의 변화는 완만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민들의 위험회피성향이 현금 고사용국(일본, 스페인, 독일, 이탈리아)과 유사한 만큼 향후 현금사용도가 저사용국(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처럼 급격하게 하락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은은 이에 “발권당국으로서 현금사용 감소세에 따른 부작용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지난 2월 발권국 내에 화폐유통팀을 신설했다”고 설명했다.

머니뭐니
머니뭐니

th5@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