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부터 뉴스까지, 그 사이(메타·μετά) 행간을 다시 씁니다.
![의과대학의 ‘유급 예고’에도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는 계속되고 있다. 사진은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인 31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 의대 강의실 모습. [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4/16/rcv.YNA.20250331.PYH2025033107080001300_P1.jpg)
[헤럴드경제=김용재 기자] 각 의과대학들이 ‘유급 예고’를 하고 있지만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는 계속되고 있다. 수업 일수를 채우지 못한 학생들의 대규모 유급은 현실화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강경파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유급 한 번 정도는 괜찮고, 시간이 해결해 줄 것’이라는 기류가 퍼지는 것으로 보인다.
16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수업 거부를 이어갈수록 정부에 대한 협상력이 높아진다는 계산이 선 것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한 번쯤 유급되더라도 상관 없고 올해 2학기 새 정부의 다른 구제책이 나올 것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전해진다.
의대생 “버텨야 의대 모집인원 정지” 수업 거부 의지 강해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 의지는 강했다. 수도권 의대 본과 2학년에 재학 중인 한 의대생 A 씨는 “어차피 (의대 증원을 시작한) 정부도 사라졌는데 수업을 들어야 할 이유가 없는 것 아니냐”라며 “우리가 버텨야 의대 증원 철회를 넘어서 모집인원 정지까지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권 예과 재학생 B 씨 역시 “어떤 의대생은 유급당한 친구도 있고 ‘필의패’(필수의료패키지) 철회 같은 우리가 요구한 그 어떤 것도 해결된게 없는데 투쟁을 굳이 멈출 이유가 없는 것 아니냐”며 “어차피 유급 한 번 당하더라도 제적이 되는 건 아니다”고 했다.
의대생들의 수업거부가 이어지면서 전국 40개 의과대학 학장 모임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의대생들을 향해 ‘수업에 참여하라’는 최후통첩을 날렸다.

의대 학장 “새 정부 출범과 의대생 유급 무관” 복귀 압박
KAMC는 전날 입장문을 통해 “교육부는 2025학년 학사운영은 학칙 준수가 기본 방침이며 학사 유연화 계획이 없음을 여러 번 확인했고 이 방침에 예외를 둘 수 없다”며 “각 학교 학칙에 따라 유급이 결정되니 학생 스스로 피해가 없도록 책임 있게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대 학사 정상화라는 정부 목표는 확고하고, 이는 새 정부 출범과 무관함을 알아야 한다”며 “정치적 상황이 학사 유연화 등의 여지를 열어줄 수 있다는 판단은 정확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특히 KAMC는 본과생들에 대해선 복귀 시한을 넘기면 의사 국가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고 경고하며 “대학이 정한 1학기 성적 마감 시점까지 임상 실습과 평가가 마무리되지 못해 유급이 결정되면 원서 접수는 불가하다”라고 설명했다.
일부 대학서 유급 처리 안해…의대생 “누워 있으면 어차피 해결”
이같은 압박은 의대생들에게 그리 큰 영향력을 미치지 못한다. 게다가 일부 대학에서 유급 대상 학생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는 등 ‘출구 전략’을 내어주는 상황이다. 원광대와 을지대의 경우 무단결석한 학생을 제적하는 학칙 적용을 미루고 있다. 건국대 의대의 경우 25학번 의대 신입생들에게 ‘수강 철회’를 안내하면서 유급을 피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외에도 몇몇 지방권 의대에서는 ‘이번 학기 안에 온라인 강의만 다 들으면 유급 처리하지 않겠다’는 공지가 나가기도 했다.
이같은 상황이 반복되면서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어차피 작년과 흐름이 똑같다”, “누워 있으면 어떻게든 대학과 정부가 해결안을 내줄 텐데 뭐 하러 수업을 듣느냐”, “어차피 커리큘럼 조금만 조정하면 수업 다 들을 수 있다” 등의 의견이 나온다.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4/16/rcv.YNA.20250408.PYH2025040810340001300_P1.jpg)
실제 의대생 복귀율 낮아…17일 ‘의대 모집 인원 3058명’ 발표 예정
정상적인 의대 교육이 이뤄지면 내년도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결정하겠다며 조건부 제안을 했던 교육부는 학생들의 계속된 수업 거부에 속내가 복잡하다.
의대 학장들은 “정부가 의대 모집 인원을 3058명으로 못 박아야 의대생들이 돌아올 것”이라고 여러 차례 요구하면서 압박하고 있고, 대학 모집 인원을 결정해야 하는 4월 말이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여러 차례 “정권이 바뀌는 것과 상관없이 올해 학사 유연화는 없고 학칙대로 처리할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모집 인원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의대생 수업 복귀율과 관련해서는 “수업 참가 학생이 증가하는 추세라 조금 더 지켜보고 있는 상태”라고 했다. 실제로 일부 의대 본과생(고학번)의 복귀율은 높았지만 실제로 전체 의대생들의 복귀율은 4분의 1 수준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의대 모집인원 결정을 두고 고민이 깊다.
한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이날 오후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과 관련된 회의를 열고 정원과 관련된 논의를 진행하고 교육부에 의대 모집 인원 ‘3058명’을 건의했다.
brunch@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