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019년 6월 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 참석해 회동하고 있다. [로이터]](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4/15/news-p.v1.20250414.bb1aeb7fa1384241b84919c6d91e8462_P1.jpg)
[헤럴드경제=김유진 기자] 미국 유학 중 비자가 갑작스럽게 취소된 중국인 유학생들이 미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에 나섰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단행한 비자 취소 조치가 인종차별적이라고 주장하면서다.
15일 중국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미국 UC버클리와 카네기멜런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4명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의 법률대리를 맡은 더헝 로펌 실리콘밸리 사무소 주커량 변호사는 “사안이 시급하다고 판단해 원고 4인이 공동으로 소송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원고 측은 소장에서 미국 정부가 별다른 사전 통지나 청문 절차, 증거 제시 없이 ‘국가 안보’를 이유로 학생들의 체류 자격을 일방적으로 박탈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오는 14일에는 ‘잠정적 금지 명령(Temporary Restraining Order)’도 추가로 법원에 신청할 계획이다.
주 변호사는 “이번 소송은 일부 학생만이 아니라, 동일한 사유로 피해를 입은 전체 중국 유학생을 위한 것”이라며 “심지어 몇 년 전 취소된 교통 벌금이나 가족 간 분쟁 기록 등을 이유로 삼아 비자를 취소한 사례도 있었다”고 밝혔다.
일부 유학생은 불이익 기록이 전혀 없음에도 비자가 박탈된 경우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로펌 측은 공식 성명을 통해 “비자 취소 대상자 대부분이 중국 본토 출신으로, 차별적 요소가 명확하다”며 “미국 정부가 이 같은 방식으로 대응한다면, 미국 내 모든 유학생의 체류 안정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중국중앙TV(CCTV)는 지난 11일 트럼프 행정부가 대규모 추방 조치의 일환으로 88개 대학에서 최소 529명의 학생과 교직원, 연구원의 비자를 취소했다고 보도했다.
원칙적으로 취소 처분을 받은 유학생은 즉시 출국하지 않으면 불법 체류자 신분이 될 수도 있으며, 새로 비자를 신청할 때도 거절당할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
kace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