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B787-10 [대한항공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5/16/news-p.v1.20250509.17cc5cab5f644b869f55fcc4a56c484c_P1.jpg)
[헤럴드경제=노아름 기자] 호반건설이 다시금 한진칼 지분을 잇달아 매입하면서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점화되고 있다. 한진칼 주가는 연이틀 상한가를 기록하다 한차례 급락했다가 다시금 변동폭을 키웠다. 한진그룹은 자사주를 이용해 한진칼 지배력이 확대되는 효과를 봤다. 호반그룹 측은 단순 투자 목적이라고 밝혔지만 시장과 업계에서는 한진칼에 대한 인수·합병(M&A) 가능성 주시하고 있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진그룹 지주사 한진칼은 출연금 1억원과 자사주 44만44주(0.66%)를 한진칼의 사내복지기금에 오는 8월 15일 이내에 출연할 예정이다. 증여가액은 663억7100만원 상당으로, 주당 증여금액은 15만600원(14일 종가)으로 결정됐다.
자사주는 의결권이 없다. 하지만 한진칼이 주식을 사내복지기금에 증여하면서 기금소유 주식 전환되며 의결권이 살아나게 된다. 이로 인해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측 우호지분은 기존 19.96%에서 20.13%로 늘어 호반그룹과 지분 격차가 2.2%포인트로 벌어지게된다.
한진그룹은 자사주 출연 배경으로 사내근로복지기금 기본재산 형성을 꼽았다. 이달 초 사내근로복지기금을 설립한데 따른 조치라는 것이다.
다만 최근 한진칼 2대주주인 호반건설이 한진칼 주식을 추가 매수한 상황에서, 한진그룹의 자사주 처분 목적성에 다양한 해석 가능성이 열렸다. 호반건설은 지난 12일 한진칼 지분율이 기존 17.44%에서 18.46%로 증가했다고 공시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한진그룹의 행보와 관련해 시대에 역행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의 기업 밸류업(기업가치제고) 프로그램 도입으로 인해 상장사들은 자사주 매입·소각해오던 추세다. 자사주 소각은 시장에 유통되는 발행주식수를 줄여 주당순이익을 높이는 효과를 내 강력한 주주환원 정책으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주가 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 목적에서 회사 자산으로 자사주를 매입 후 소각해왔기 때문에 이와 다른 자사주 활용은 총수일가의 사익편취 수단으로 읽히기도 한다.
실제로 지주사가 자사주를 재단법인에 출연하는 행위는 행동주의펀드의 단골 공격 포인트이기도 했다. 이들은 경영권 방어를 위한 자사주 처분은 ‘꼼수’에 불과하며 주주가치를 훼손하는 일이라 문제제기해왔다.
행동주의펀드 플래시라이트캐피털파트너스(FCP)는 KT&G가 산하 재단 및 사내복지근로기금에 자사주 1085만주를 무상 또는 저가로 기부해 회사에 1조원에 이르는 손해를 끼쳤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1월 FCP는 KT&G 사내외이사들에게 자사주 처분 관련 책임을 물으려는 행보를 본격화했었다.
이외에도 HL홀딩스는 지난해 연말 재단법인에 자사주를 무상 출연하려다가, 이는 일반주주의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라는 지적에 관련 계획을 철회했다. 당시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논평을 통해 “주주 승인 없이 자사주를 무상 출연하는 행위는 사실상 공짜 신주 발행”이라며 “일부 상장사들이 ‘사회 환원’이라는 명분에 따라 재단에 자사주 무상증여라는 방법을 통해 우호지분 확보를 꾀하고 있다는 합리적 의심이 나온다”고 비판했다.
물론 한진칼은 주당 출연금액을 이사회 결의 전일 종가로 결정하는 등 시장가와 현저하게 다른 저가를 택하지는 않았다. 자사주를 무상 제공하려던 HL홀딩스와는 다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다만 적극적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한진칼 밸류업을 실현하겠다던 회사 청사진이 무색해졌다는 시선은 여전히 존재한다.
한진칼은 지난 2월 기업가치제고계획 자율공시를 통해 ▷PBR 1배 이상 유지 ▷조정 당기순이익 50% 배당 ▷지배구조 핵심지표 준수율 70%+ 등을 제시하며 “지주사 펀더멘털 강화와 적극적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한진칼 밸류업 실현” 목표를 밝혔다.

aret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