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성과학硏, 2025 초격차 바이오헬스 14개사 선정

국가독성과학연구소 전경.[헤럴드DB]
국가독성과학연구소 전경.[헤럴드DB]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혁신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가능성을 인정받아 ‘K-BIO’ 의 새 주역으로 일컬어지는 2025년도 바이오헬스 신약·소재 분야 초격차기업 14개사가 최종 선정됐다.

초격차 사업 바이오헬스(신약·소재)분야 주관기관인 국가독성과학연구소 최근 초격차 사업의 25년도 신규 지원 대상 유망창업 기업 14개사를 최종 선정하고 본격적인 사업 일정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초격차 분야란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이동수단(모빌리티), 친환경·에너지, 로봇, 빅데이터·인공지능(AI), 사이버보안·연계망(네트워크), 우주항공·해양, 차세대원전 양자기술을 의미하며, 중소벤처기업부는 해당 10대 초격차 분야의 기술기반 창업기업을 선정해 글로벌 수준의 성장을 지원하는‘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지난 2023년부터 추진해 왔다.

창업 10년 이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올해 지원 대상 공모는 지난 2월부터 시작돼 일반 공모와 민간·부처 추천 트랙의 기본지원과 후속지원 형태로 진행됐으며, 신약·소재 분야의 경우 최대 20.6: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최근 최종 선정 작업을 마무리했다.

해당 기업들은 기본지원의 경우 향후 3년간 최대 6억원의, 후속지원의 경우 2년간 최대 10억원의 사업화자금 지원을 비롯해 기술개발(R&D) 자금 연계와 정책자금, 기술 보증, 수출바우처 등을 우선·우대 지원받게 된다,

2025년도 바이오헬스 신약·소재 분야 초격차기업 선정회의 모습.[국가독성과학연구소 제공]
2025년도 바이오헬스 신약·소재 분야 초격차기업 선정회의 모습.[국가독성과학연구소 제공]

또 기술사업화와 개방형 혁신, 투자유치 주관기관이 운영하는 기술개발 고도화와 대·중견기업 협업(개방형 혁신), 투자유치 교육·멘토링(투자유치) 등의 특화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수 있다.

국가독성과학연구소는 바이오분야 참여기업의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실증 지원으로 초기 독성 및 효능 자료 확보와 AI 신약개발 지원, 글로벌 기술 이전 등의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국가독성과학연구소 관계자는 “초격차 사업의 경우 사업의 규모나 지원내용, 또 창업기업들의 참여도 등을 고려할 때 명실상부한 국내를 대표하는 창업지원 사업으로 자리매김 해오고 있다”며 “올해 신규 참여기업들 역시 기술력과 성장 역량 등에서 K-BIO 대표 주자들로, 향후 지원 사업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성과 창출이 충분한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