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선박 발주, 트럼프·시진핑에 달려
트럼프 대중 견제에 시진핑도 대응 나설 듯
“중국 발주 취소하고 한국으로 넘어올 수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AP]](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3/14/news-p.v1.20250311.bdf95c24f46c45ecb9966b6b37ccecec_P1.jpg)
[헤럴드경제=박혜원 기자] “중국은 원할 경우 언제든지 미국 경제를 마비시킬 수 있다.”
지난달 미국 마크 켈리 민주당 상원 의원은 한화필리조선소에 방문해 이같이 말했다. 글로벌 입지를 넓히고 있는 중국 조선업에 대한 미국의 경계심이 고스란히 읽히는 발언이다. 미국이 보유한 대양 항해용 상선은 80척인 반면 중국은 5500척에 달한다. 그만큼 미국향 물류망에서 중국 영향력은 압도적이다.
트럼프 대중 견제 본격화에 글로벌 해운사들 ‘갈팡질팡’
중국 조선업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견제가 본격화하면서 글로벌 해운사들 사이에서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해운 업계 곳곳에선 이미 해운사들이 중국과 거리를 두는 움직임도 보인다. 다만 아직까지 중국에서 이렇다 할 대응책은 나오지 않고 있어 당분간은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행 북경사무소는 지난 12일 발간한 ‘중국의 조선·해운업 동향 및 향후 전망’에서 “미국의 대중 조선업 제재 조치는 향후 글로벌 해운사 발주 계획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해운사들이 중국 조선사와의 계약에 따른 정치적 리스크를 감안해 한국 조선사로 눈길을 돌릴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같은 움직임은 이미 해운 업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외신 등에 따르면 독일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하팍로이드(Hapag-Lloyd)는 액화천연가스(LNG) 컨테이너선 6척을 중국 조선사에 발주할 예정이었으나, 미중 갈등 상황을 고려해 한화오션과의 계약 체결을 검토하고 있다.
세계 3대 선사 중 하나인 프랑스 CMA CGM 역시 지난달엔 HD현대중공업에 LNG 추진 컨테이너선 12척 건조 계약 체결했으나, 최근에는 같은 선박 8척을 중국 국영 조선사에 발주했다. 이와 관련 양종서 한국수출입은행 수석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선사들이 중국에 치중돼 있던 발주 비중을 조정하는 움직임이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조선소 발주 계약 취소 가능성도”
![중국 동부 산둥성 칭다오 항구를 출항하는 컨테이너 선박. [AFP]](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3/14/news-p.v1.20250218.28693e0eab954d60a3475b16f1cd0c53_P1.jpg)
증권가에선 이미 중국 조선소와 수주 계약을 맺은 선사들이 이를 취소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다. 변용진 iM증권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 조선소에 선박을 대량 발주한 글로벌 선사들이 계약을 취소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은 중국 조선업에 대한 견제 수위를 점차 높여가고 있다. 오는 24일 미국 무역대표부는 중국 선사의 선박이 미국에 입항할 때마다 최대 100만달러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공청회에서 확정할 예정이다.
이 때문에 글로벌 선사들 입장에선 중국과의 계약 취소가 오히려 이익일 수도있다. 특히 지난해 발주된 컨테이너선들은 대부분 건조가 시작되지 않은만큼 아직 계약 취소가 가능하다. 이와 관련 변 연구원은 “계약 파기로 인해 선수금을 몰취당하는 손실보다 향후 미국 항구 입항 시 부과될 수수료 부담이 더 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견제에 중국이 준비하는 카드는?
다만 중국 측 대응은 아직 뚜렷이 나오지 않은 상태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이번 수수료 부과 계획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는 가운데, 내부적으로 주요 해운사 동향을 점검하는 등 향후 대응방안에 논의 중인 것으로 관측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수료 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중국 정부는 그에 상응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보복카드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다”고 설명했다.
k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