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서 추경 요구 질타

구자근 “예산 전횡·폭거부터 사과해야”

김은혜 “한미동맹 예산 숙청, 복원해야”

崔 “80조 적자국채, 추경 따라 달라져”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 [연합]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 [연합]

[헤럴드경제=김진 기자] “완전 ‘야바위 정치’ 아닙니까. 본인들이 일방적으로 4조원을 깎아 놓고 5일 만에 30조~35조원 추경을 주장한다?”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

“이렇게 삭감해 놓고 성장이라니요. 한참 커가는 아이 밥그릇을 빼앗아 놓고, 무럭무럭 자라라 덕담하면 좀 이상하지 않습니까.”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

13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진행된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더불어민주당의 ‘35조원 규모’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편성 요구에 대한 국민의힘 의원들의 비판이 쏟아졌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여당 간사로 2025년도 예산안 심사에 임했던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상대로 “민주당이 검찰, 경찰, 특수활동비, 특정업무경비를 전부 0원으로 만들었다”며 ‘내돈내수(내 돈 내고 내가 수사)’라는 신조어를 소개했다.

구 의원은 지난해 말 예산안 심사와 관련해서도 “저뿐만 아니라 정부 부처와 국민의힘, 민주당 예결위 간사도 밤낮없이 주말 없이 일했다”며 “그런데 막바지에 가서 지역상품권 1조원 증액을 정부가 받아주지 않으니까 민주당의 누군가의 ‘오더’인지, 삽시간에 그 모든 시간들이 물거품이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표의 오더가 있으니까 감액 예산 찬성은 해야겠지만, 지역 입장을 생각하면 실질적으로 속은 부글부글했던 민주당 의원들 참 많았겠다고 생각된다”며 “민주당이 정말 민생 운운하고 싶다면 전횡과 폭거부터 저는 사과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구 의원은 민주당의 추경 요구를 “야바위 정치”라고 표현하며 “후안무치도 이런 후안무치가 어디 있습니까”라고 반문했다. 이어 “어제 다르고 오늘 다르고, 아침 다르고 저녁 다르고 카멜레온도 이런 카멜레온이 어디 있습니까”라며 “지역상품권 했다가, 안 한다고 했다가 지금 25만원 쿠폰으로 한다고 한다”고 했다. 그러자 본회의장에 있던 민주당 의원들 사이에서는 “그래서 비상계엄했습니까”라는 항의와 함께 고성이 터져나왔다.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이 13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진행된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질의를 하고 있다. [의원실 제공]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이 13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진행된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질의를 하고 있다. [의원실 제공]

지난달 도널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식에 맞춰 미국을 찾았던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최 권한대행과 질답 과정에서 민주당의 추경 요구를 “제비 다리 부러뜨리고 박씨 물어오라는 놀부 심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최근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한 점을 언급한 뒤 “미국과 협력이 중요시 되는 전략산업 예산을 봤다”며 “한미동맹 전략협력산업이 삭감이 아니라 숙청 수준이던데, 이렇게 잘라낸 2025년도 예산이 4조원”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제가 만난 미국 측 인사 일부는 이재명 대표를 한미관계의 리스크로 보기도 했다”며 “글로벌 빌런 쯤으로 간주하더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또 “미 의회 의원들은 북한, 중국, 러시아와 거리를 두고 한일 관계를 개선한 것이 왜 탄핵사유냐고 제게 되물었다”며 “미국 인사들은 특히 대북송금 사건에 관심이 많았다”고 했다.

김 의원은 “동맹 강화가 거짓이 아니라면 저는 삭감한 예산, 원상 복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정부 예산은 당당하지 않았나”라고 해 민주당 의원들의 항의를 받았다.

한편 최 권한대행은 민주당의 추경 요구안에 대한 의견을 묻는 구 의원의 질문에 “추경 논의나 국정협의회를 앞두고 제가 야당에서 발표하신 내용에 대해서 이 자리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을 아꼈다.

최 권한대행은 “올해 적자국채는 80조원 넘게 발행되지만 (앞으로의) 추경 편성 규모에 따라 또 달라진다”며 “그런 부분(대외신인도 영향)도 같이 논의 대상이 될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soho0902@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