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알바 보다도 못 벌어요”…폐점 편의점 점주 ‘눈물의 호소’
[헤럴드경제=이정환 기자] “한달 매출이 많으면 2400만원 나오는데 주변사람들은 많이 번다고 해요. 편의점 수익구조를 몰라서 하는 말이에요. 제 손에 떨어지는 돈은 아르바이트생이 가져가는 것보다 적을 때도 있어요”

서울에서 편의점 경영을 하다 8개월만에 폐점한 노 모(35) 씨.

노 씨에 따르면 편의점 이익은 전체 매출에서 25% 정도다. 많이 번 달이 약 2400만원인데 여기에 25%가 이익금이다. 계산해 보면 600만원 정도다. 문제는 600만원이 전부 이익이 아니라는 것이다. 가맹본부와 매출 이익금을 65대 35로 나눈다. 가맹본부에게 210만원을 주고 나머지 금액인 490만원이 노 씨의 몫이다.

노 씨가 책임져야 할 것들이 또 있다. 바로 아르바이트 비용과 월세 그리고 전기세, 카드 수수료 등이다. 

편의점 3만개 시대. 하지만 편의점의 영역확장은 계속되고 있다. 편의점 점포당 인구수도 줄고 편의점간 경쟁은 치열해지고 있어 저매출 부실점포는 점점 더 늘어나 점주들의 수익은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편의점 내부 모습[사진=헤럴드경제DB]
편의점 3만개 시대. 하지만 편의점의 영역확장은 계속되고 있다. 편의점 점포당 인구수도 줄고 편의점간 경쟁은 치열해지고 있어 저매출 부실점포는 점점 더 늘어나 점주들의 수익은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편의점 내부 모습[사진=헤럴드경제DB]


편의점은 24시간 운영하는 시스템이어서 보통 3명이 교대로 근무한다. 점주 본인과 아르바이트생 2명을 둔다. 아르바이트 비용만 200만원이 넘는다. 여기에 전기세가 한달에 70만원 나오는데 본사와 50대 50으로 부담하고 카드 수수료는 65% 부담한다.

노 씨는 “일매출이 140만원 정도 나온다는 얘기에 계약을 하게 됐다”며 “일 매출 140만원은 희망일뿐 100만원 겨우 나올 때도 있고 80만원 나올 때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조금이라도 더 수익을 내기 위해 부모님까지 편의점에 나오셔서 일을 도와 주시지만 그래도 제 손에 떨어지는 돈은 고작 몇십만원”고 했다. 


편의점 빅3 점포수 [데이터=각사 제공]

그래서 그는 폐점을 하기로 결심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편의점은 진입하긴 쉽지만 폐점은 정말 어렵다.

폐점 내용증명을 보내고도 빨라야 3개월이 걸린다. 또 위약금이란 덫에 걸려 빠져 나오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위약금 3000여만원에 인테리어 비용까지 합치면 수천만원을 날린다.

노 씨는 “인테리어 비용은 당연히 부담한다고 쳐도, 자기들 손해도 아닌데 위약금까지 물리는 건 너무 불합리하다”며 “수익은 나눠갖고 경영 위험은 점주에게 떠넘기는 구조라 주변에서 편의점을 하려고 하면 도시락을 싸들고 말리고 싶은 심정”고 토로했다.

노 씨와 같은 저매출 폐점 점포는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올해 국내 편의점 수는 3만개를 넘어섰다.

국내 편의점 점포당 인구수는 2011년 2300명 수준에서 2014년 2057명으로 줄었다. 올해는 2000명 선이 무너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은 약 2500명당 하나다.

편의점 점포당 인구가 적다는 건 매출이 줄어든다는 의미다. 편의점 가맹본부가 영역 확장을 할수록 노 씨와 같은 저매출 부실점포는 점점 더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여기에 올해 총선을 앞두고 각 당에서 최저임금 상승을 공약으로 내걸면서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는 상태다.

편의점주 관계자는 “본사 이익을 위해 점포수 확장에만 나서고 있는 것 같다”며 “한달 내내 일해도 손해만 보는 점포에 대해 본사 지원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atto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