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스트로보틱스 로봇 1만대 수출 목표

신익현(왼쪽 두번째) LIG넥스원 대표이사 사장이 2일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내 지상무기 방위산업 전시회 ‘KADEX 2024’에서 방문객들에게 부스를 소개하고 있다. 한영대 기자
신익현(왼쪽 두번째) LIG넥스원 대표이사 사장이 2일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내 지상무기 방위산업 전시회 ‘KADEX 2024’에서 방문객들에게 부스를 소개하고 있다. 한영대 기자

[헤럴드경제(계룡)=한영대 기자] 신익현 LIG넥스원 대표이사 사장이 “시기적인 문제일 뿐 유도로켓 비궁의 미국 수출을 100% 확신한다”고 밝혔다.

신 사장은 2일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내 지상무기 방위산업 전시회 ‘KADEX 2024(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전)’에서 헤럴드경제와 만나 비궁의 미국 수출 가능성에 대해 이 같이 말했다.

2016년 국내 해병대에 전력화 된 비궁은 올해 7월 미국 하외이 해역에서 진행된 해외비교시험(FCT) 최종 시험 발사에서 6발 모두 표적을 명중시켰다. FCT는 미국 국방부가 전세계 동맹국 방산 기업이 가진 우수 기술을 평가, 미국이 추진하는 개발 및 획득 사업으로 연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LIG넥스원은 현재 비궁의 미국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목표를 이룰 시 대한민국 유도무기 최초로 미국에 수출되는 것이다. FCT에서 우수한 성능을 검증한 만큼 비궁의 미국 수출 가능성은 커진 것이다. 다만 신 사장은 “(무기 수출과 관련한) 미국 정부의 예산 지출, 의회 승인 절차 등을 거쳐야 되는 만큼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 7월 인수를 완료한 미국 로봇 기업 고스트로보틱스와의 협업 방향에 대해서는 “LIG넥스원은 (주요 국가들의) 육·해·공군 무인화에 모두 관여할 것”이라며 “고스트로보틱스의 사족보행로봇은 육군 무인화에 많이 활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현재 미국 육군 및 해군은 고스트로보틱스 사족보행로봇을 통해 여러 가지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며 “1차적으로 미국을 비롯한 유럽, 일본 등에 로봇 수출 1만대를 목표로 삼았다”고 설명했다.

이날 진행된 행사에서는 해외 군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LIG넥스원의 무인화 전력을 중점적으로 소개했다고 신 사장은 강조했다. LIG넥스원은 ‘미래 전장에 대비한 무인화’ 콘셉트를 기반으로 부스에 ▷수상 유·무인복합체계의 기반이 될 ‘무인수상정(해검-3)’ ▷AI 기반 지휘통제체계 등을 소개했다.

신 사장은 “현재 우리나라 국군 병력이 50만명 이하로 하락했고, 저출산 여파로 추후에는 30만명대까지 줄어들 것”이라며 “LIG넥스원은 약 50년 동안 미사일 등을 개발했는데, 이같은 전력에 무인화 기술을 녹여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LIG넥스원의 2.75인치 유도로켓 ‘비궁’. [LIG넥스원 제공]
LIG넥스원의 2.75인치 유도로켓 ‘비궁’. [LIG넥스원 제공]

yeongdai@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