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방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 분석

2월 전용 서울 84㎡ 평균 거래가 14.4억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중구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중구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신혜원 기자] 지난달 서울에서 거래된 국민평형(전용면적 84㎡)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가 14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평형 아파트가 가장 비싸게 거래된 곳은 서초구로 평균 매매가가 30억원 이상으로 집계됐다.

17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용 84㎡ 실거래가격은 평균 14억3895만원으로 집계됐다. 강남3구(서초·강남·송파구)의 경우 국민평형 실거래 평균가격이 20억원을 웃돌았다. 자치구별로는 서초구 31억4043만원, 강남구 27억634만원, 송파구 20억2813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서초구는 래미안원베일리, 아크로리버파크, 래미안퍼스티지, 반포자이 등 단지에서 거래가 이뤄지며 평균 가격을 끌어올렸다. 강남구 역시 개포동 래미안블레스티지, 개포동 디에이치아너힐즈, 삼성동 래미안라클래시 등의 준신축 아파트가 30억원 이상에 거래됐다. 다만 논현동·역삼동·일원동 등 구축 단지의 거래가 더해지면서 평균 가격은 27억원 선을 기록했다.

송파구는 헬리오시티, 리센츠, 잠실엘스, 트리지움, 파크리오 등 20억원 이상 아파트의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2월 국민평형 평균 아파트값이 20억원을 넘겼다.

강남 3구 외에도 용산구(19억1413만원), 종로구(18억7190만원), 성동구(16억1137만원), 마포구(15억8311만원) 등도 국민평형 아파트의 평균 거래가격이 15억원을 넘었다. 반면 도봉구(6억1529만원)와 강북구(6억8257만원)는 7억원 이하에 형성됐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기준금리 인하 이후 기대감이 확산되면서 대출 금리 하락이 예상되는 가운데 주택 시장에서도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며 “연말 연초 관망세를 보이던 수요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거래가 증가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이어 “잠실·삼성·대치·청담(잠삼대청)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도 시장 회복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며 “오는 7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을 앞두고 대출 규제가 강화되기 전 유리한 조건에서 주택을 매입하려는 수요가 선제적으로 시장에 유입된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hwshi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