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차원 사용자동작분석·위치추정기술로 확장현실 선도
![ETRI 연구진이 다중참여 원격몰입 XR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ETRI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2/19/news-p.v1.20250219.623113798de84deb818c8f763e8d7317_P1.png)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사용자의 경험이 더욱 생생하고 현실감이 넘치도록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접목하는 몰입형 XR(확장현실)의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몰입형 XR의 핵심 기술은 다인칭 사용자 3차원 정밀 동작 분석과 복합공간상 사용자 위치 추정 기술이다.
먼저 다인칭 사용자 3차원 정밀 동작 분석 기술은 모바일 환경에서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2차원 영상 데이터 기반으로 사용자의 3차원 관절 위치 정보를 추론하는 방식이다.
기존 방법들은 고가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장비가 탑재된 시스템 자원을 요구하지만, 이 기술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3차원 자세 정보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복합공간상 사용자 위치 추정 기술은 증강현실 콘텐츠를 현실 세계에 자연스럽게 융합하기 위한 기술이다.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해 영상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 및 보정해 환경 맵을 구축한다.
생성된 맵을 활용해 사용자의 디바이스 위치를 정밀하게 추정할 수 있다.
![ETRI 연구진이 개발한 다중참여 원격몰입 XR기술을 활용해 자동차 레이싱 디오라마에서 레이싱을 시연하고 있다.[ETRI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2/19/news-p.v1.20250219.9decb175396749dfb8b86e5ffa159901_P1.png)
이 기술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몰입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연구진은 증강현실에 맞춰 가상현실 공간을 만들어 로컬 및 원격에서 다수 사용자가 참여하여 생생한 XR 체험이 가능하도록 시범 콘텐츠를 만들었다.
증강현실 속에서 범용 스마트폰을 활용한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를 착용한 두 명의 로컬 사용자는 각각 여우와 어린왕자의 역할을 하고, 가상현실 속에서 HMD를 착용한 또 다른 한 명의 원격사용자는 허수아비 캐릭터 역할을 했다. 이로써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여 원격몰입 확장현실을 시연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증강현실을 통해 실제 공간과 가상의 공간을 연동해 두 개의 공간을 공유하며 사용자의 제스처 인식까지 가상의 캐릭터에 반영하는 데 성공한 셈이다.
![지난 2023 독일 IFA ETRI 전시 부스에서 ETRI 연구진이 다중참여 원격몰입 XR기술을 시연하고 있다.[ETRI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2/19/news-p.v1.20250219.cc342dd5bd2c4c49bdcf9bfaa2a40ba5_P1.jpg)
이 기술은 노원기차마을 스키장 디오라마, 국립중앙도서관 ‘자산어보’등을 현장에서 체험할 수 있는 시범서비스에 적용, 2023년 9월 독일 IFA에서 다중참여 원격몰입 XR 전시를 통해 뛰어난 기술력과 혁신적인 콘텐츠로 많은 관심을 모았다.
정성욱 ETRI 콘텐츠융합연구실 책임연구원은 “과기정통부에서 강조하고 있는 R&D 결과물의 조기 사업화를 위해 테마파크 및 국립박물관 등에서 실·가상 환경을 융합한 직관적 인터랙션을 제공한다”며 “이를 통해 몰입형 콘텐츠를 선보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며 향후 다양한 산업분야로 확산될 수 있도록 과기정통부에서 지원 예정”이라고 밝혔다.
nbgko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