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이어 오늘 2차 출석 조사

체포영장 집행 방해한 배경 추궁

경찰, 사전구속영장 청구 고심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한 박종준 대통령경호처장이 10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국가수사본부로 출석하고 있다. 임세준 기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한 박종준 대통령경호처장이 10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국가수사본부로 출석하고 있다.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이용경 기자] 13시간 마라톤 조사를 받은 박종준 전 대통령경호처장이 11일 오전부터 경찰에 2차 출석해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박 전 처장은 지난 3일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막은 혐의를 받는다. 경찰은 그가자발적으로 출석했고 이미 전직 신분이 된 점 등을 고려해 전날 긴급체포를 하지는 않았다. 다만 필요하다면 사전구속영장 신청을 검토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박 전 처장은 10일 오후 11시 10분께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청사에서 피의자 조사를 마친 뒤 “수사기관의 조사에 최대한 성실히 임하려고 노력했고 소상하게 설명했다”고 취재진에 말했다.

하지만 박 전 처장은 ‘(경호처장직)사의를 표명한 이유’와 ‘윤 대통령이 출석을 만류한 게 맞는지’, ‘오늘 출석한 이유가 따로 있는지’, ‘유혈 사태가 벌어지면 안된다고 한 이유’, ‘체포영장 집행 저지선 구축은 본인 구상인지 윤 대통령의 구체적 지시인지’ 등을 묻는 취재진 질의에는 답하지 않은 채 차를 타고 청사를 떠났다.

앞서 박 전 처장은 경찰에 출석하며 “현직 대통령 신분에 걸맞은 수사 절차가 진행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윤 대통령에 대한 수사기관의 체포 시도를 비판했다. 그러면서 “현재와 같은 체포영장 집행 방식 절차는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우리나라 국격에 맞게 대통령에게 적정한 수사 절차가 진행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경찰은 박 전 처장에게 지난 3일 경호처가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막을 당시의 구체적 경위 등을 집중적으로 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처장은 당시 경호처 지휘부와 함께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해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를 받는다. 특히 고발에 따른 내란 혐의도 받고 있다. 경찰은 지난 3일 박 전 처장과 김성훈 경호차장을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했다. 이틀 뒤에는 이광우 경호본부장과 이진하 경비안전본부장이 같은 혐의로 입건됐다.

당초 박 전 처장은 경찰의 거듭된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이에 경찰은 1, 2차 출석 요구에 불응한 그를 긴급 체포하는 방안까지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박 전 처장은 10일 오전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사직서를 제출하고 경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았다. 경찰은 사직서 수리로 전직 신분이 된 점, 자발적으로 출석해 조사에 응한 점 등을 고려해 긴급체포 등 강제수사에 나서지 않고 우선 귀가 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진행 중인 박 전 처장의 추가 경찰 조사 결과에 따라 윤 대통령에 대한 2차 영장 집행 국면도 새롭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김 차장과 이광우 본부장, 이진하 본부장 등은 경찰 출석 요구에 불응한 상태다. 김 차장은 경찰이 요구한 3차 출석 시한인 11일 오전 10시까지 경찰에 나타나지 않았다.